경향신문

정부 “필요시 배추 비축 물량 하루 최대 400t 공급”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정부 “필요시 배추 비축 물량 하루 최대 400t 공급”

김범석 기획재정부 차관이 8월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9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차관이 8월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9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정부가 이달 중 배추 수급 여건에 따라 필요시 비축물량 하루 400t까지 확대 공급하기로 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어 농축수산물·석유류 등 품목별 가격 동향을 점검하고 물가안정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호우·폭염 등으로 가격이 상승한 배추의 재배면적 확대를 통해 1000t 수준의 추가 공급여력을 확보하고, 필요시 비축 물량을 일 최대 400t까지 확대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배추 계약재배 농가에 30% 이상 할인된 가격으로 병충해 방제 약제를 공급하고, 축산농가에 차광막·환풍기 등 폭염 대비 시설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중동지역 갈등 재확산에도 석유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비상대응 체계를 유지키로 했다. 7월에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83.8달러에 달했던 유가는 8월 첫째주 75.0달러까지 떨어지는 등 하락 추세에 있다.

정부는 석유·가스 등 핵심 안보 자원에 대해 상시 비축과 별도로, 위기 시에 대비한 이원화된 비축체계를 운영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하기로 했다. 평상시에는 공공부문 중심 상시 비축으로 운영하되, 위기가 발생하면 비축기관을 확대하고 추가 비축의무를 부과한다는 계획이다.

김 차관은 “장마 이후 폭염으로 채소류 등 일부 농산물값이 전월보다 상승했지만, 지난해 8월과 비교하면 전반적 안정세”라고 평가하면서 “유가 변동성, 여름철 기상이변 등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소관 품목의 물가안정 노력을 강화해달라”고 관계부처에 당부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