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외투기업 55% 노란봉투법에 부정적···45%는 영향없음·긍정적”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외투기업 55% 노란봉투법에 부정적···45%는 영향없음·긍정적”

지난 5일 국회  본회의에서 야당 주도로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이 통과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지난 5일 국회 본회의에서 야당 주도로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이 통과되고 있다. 문재원 기자

한국에 투자한 외국인 투자기업 가운데 절반 이상은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기업 경영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7월25일∼8월6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100인 이상 제조업 주한 외국인 투자기업을 대상으로 노란봉투법 인식 조사를 한 결과, 응답 기업 100개사 중 55.0%는 노란봉투법이 경영상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고 12일 밝혔다. 49.0%는 ‘약간 부정적’으로, 6.0%는 ‘매우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응답 기업 중 35.0%는 ‘영향 없음’으로 예상했고, ‘긍정적’일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10.0%였다.

노란봉투법 내용 중 사용자 개념 확대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59.0%)이 긍정적일 것이라는 답변(17.0%)을 앞섰다. 부정적인 영향을 예상한 이유로는 ‘도급계약 부담 증가로 노동시장 효율성 저하’(27.3%), ‘하청노조의 원청에 대한 파업 증가’(25.3%), ‘원하청 노조 간 갈등 야기’(22.1%) 등을 꼽았다.

노란봉투법은 특수고용형태 종사자와 자영업자 등 노조법상 근로자가 아닌 자의 노조 가입도 허용했는데, 이에 대해 응답 기업의 62.0%는 노사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했다.

응답 기업들은 노란봉투법 시행 시 국내 파업이 평균 20% 증가하고, 외국인 투자는 15.4%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노란봉투법의 입법상 가장 큰 문제로는 ‘여야 간 충분한 논의 부족’(26.0%), ‘노조 측에 편향된 제도 입법 추진’(24.0%) 등을 들었다.

앞서 노란봉투법은 지난 5일 야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노란봉투법은 노사 관계에서 사용자와 쟁의행위의 범위를 넓히고, 노동조합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것이 골자다. 여름 휴가에서 복귀한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주 중 노란봉투법 등에 대한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외국인 투자 기업 대상 노란봉투법 시행 시 경영에 미칠 영향 조사.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국내 외국인 투자 기업 대상 노란봉투법 시행 시 경영에 미칠 영향 조사.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