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본격 대권 가도 올라탄 이 대표, 약점 꼽힌 ‘중도 확장’이 관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본격 대권 가도 올라탄 이 대표, 약점 꼽힌 ‘중도 확장’이 관건

‘이재명 2기’ 전망과 과제

압승의 깃발 ‘펄럭’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신임 대표가 18일 서울 올림픽공원 케이스포돔에서 열린 민주당 제1차 정기전국당원대회(전당대회)에서 당선을 확정한 후 당기를 이양받아 흔들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압승의 깃발 ‘펄럭’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신임 대표가 18일 서울 올림픽공원 케이스포돔에서 열린 민주당 제1차 정기전국당원대회(전당대회)에서 당선을 확정한 후 당기를 이양받아 흔들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금투세 등 정부 세제안 관련
중도층 겨냥 메시지 나올 듯

내달 결심공판 등 잇단 재판
사법 리스크 가장 큰 변수로

리더십 기반 된 압도적 표심
일극 체제 논란 극복엔 부담

더불어민주당 8·18 전당대회에서 압승하며 연임에 성공한 이재명 대표는 명실상부한 야권 최대 대선 주자로 발돋움했다. 이 대표는 경선 과정에서 자신의 정책 상징인 ‘먹사니즘’을 전면에 내세워 사실상 집권 청사진을 제시했다. 본격적인 대선 궤도에 오른 이 대표는 향후 약점으로 지적돼온 중도층 외연 확장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사법 리스크와 이 대표 일극 체제에 대한 우려는 풀어야 할 숙제다.

이 대표는 이날 서울 올림픽공원 케이스포돔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정부와 여당이 방치한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를 민주당이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며 “문제는 결국 경제”라고 말했다. 그는 대표 출마 회견에서 “‘먹사니즘’이 유일한 이데올로기여야 한다”고 말한 뒤 전국 순회경선 연설마다 이를 주요 키워드로 강조해왔다.

이 대표의 실용주의적 행보에는 차기 대선의 키를 쥔 중도층을 붙잡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이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이재명 2기 체제’는 수권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며 “이념이 아닌 민생 정책으로 중도 표심을 공략할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가 지난 대선에서 0.73%포인트 차이로 패한 이유로도 중도층 확보 실패가 꼽혀왔다.

이 대표가 대표 수락 연설에서 “국민의 삶을 보살피자”며 윤석열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에게 대표회담을 각각 제안한 배경에도 ‘민생 회복’을 매개로 정국을 주도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대표는 우선 정부의 세제개편안에 대한 당론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중도층을 겨냥한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이미 금융투자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각종 세금 정책을 두고 완화 의지를 내비쳤다. 다만 당론을 정하는 과정에서 민주당의 ‘정체성’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은 불안 요소다.

이 대표는 나아가 “어려운 민생 문제, 그중에서도 장기화하는 내수 부진을 타개할 방안에 대해 의논하자”며 윤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전 국민 25만원 지원법’(민생회복지원금지급 특별조치법) 처리를 강조했다.

사법 리스크는 ‘이재명 2기 체제’의 가장 큰 변수로 꼽힌다. 당장 20대 대선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은 다음달 6일, 위증교사 사건은 다음달 30일 결심공판이 예정돼 있다. 이르면 10월에 2건의 1심 재판 결과를 받아들게 된다. 이에 더해 대장동 등 개발비리,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과 관련한 재판이 진행 중이고, 쌍방울그룹의 불법 대북송금 사건 재판도 다음달 시작된다.

‘이재명 2기 체제’에선 검찰에 대한 공세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검찰청 폐지 및 수사·기소 완전 분리 등 검찰개혁 추진이 가속화하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진행 중인 검사 탄핵소추안 조사 청문회 강도가 강해질 수 있다.

이날 확인된 압도적 표심은 이 대표에게 강력한 리더십의 기반이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극 체제 논란을 극복하는지가 리더십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경선 기간 당 안팎에서 제기된 ‘제왕적 1인 정당’ 비판에 대해 “압도적 지지를 받도록 노력하는 것이 정치인”이라며 정면 돌파를 택했다. 다만 이 대표 주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친이재명계로 분류되는 한 초선 의원은 “살짝 미끄러지는 순간에 모든 책임을 뒤집어쓰게 돼 있다”며 “압도적인 지지엔 무거운 책임이 따른다”고 말했다. 낙선한 김두관 당대표 후보는 이날 입장문에서 “‘더민주전국혁신회의’의 호위를 받으며 ‘개혁의 딸’의 섬에 갇히면 정권 탈환의 기회는 멀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우리 안의 작은 차이는 먼지에 불과하다”며 통합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이날 이해식 의원과 조승래 의원을 각각 당대표 비서실장, 수석대변인에 임명했다. 두 의원은 강성 친명계에 속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를 받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