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사위월급이 뇌물’이라는 검찰의 문 전 대통령 억지 수사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사위월급이 뇌물’이라는 검찰의 문 전 대통령 억지 수사

검찰이 문재인 전 대통령의 딸 다혜씨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하면서 영장에 문 전 대통령을 뇌물수수 피의자로 적시했다. 7년 전 사위가 받은 임금이 뇌물에 해당한다는 논리를 앞세운 것이다.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고, 전직 대통령과 그의 딸이라고 예외가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살아 있는 권력은 털끝 하나 건드리지 못하는 검찰이 ‘죽은 권력’을 겨냥해 2년 넘도록 억지 수사를 하고 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현직 대통령 배우자가 받은 명품가방은 뇌물이 아니고, 전임 대통령의 사위가 받은 급여는 뇌물이라는 검찰의 논리는 일반 법상식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검찰은 2018년 이상직 전 의원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에 임명하는 대가로 문 전 대통령 사위가 이 전 의원이 실소유한 항공사에 취업했고, 사위가 이 회사에서 받은 급여와 주거 지원비 등 2억여원을 문 전 대통령에게 제공된 뇌물로 판단하고 있다. 사위의 취업으로 딸에게 생활비를 줄 필요가 없어져 문 전 대통령이 경제적 이득을 취했다는 것이다. 검찰은 이를 입증하기 위해 임종석 전 비서실장과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등 문재인 정부 인사들에 대한 광범위한 소환 조사를 실시하고, 문 전 대통령 부부의 계좌 수년치를 추적한 데 이어 문 전 대통령의 초등학생 손자 아이패드까지 압수했다고 한다.

문 전 대통령에게 뇌물 혐의를 적용하려면 ‘직무관련성’과 ‘대가성’은 물론이고, 문 전 대통령이 딸 부부와 ‘경제공동체’라는 점이 입증돼야 한다. 그러나 생활비 지원을 이유로 결혼한 자녀와 그의 부모를 경제공동체로 묶기는 매우 어렵다. 특히 사위 서모씨는 과거 게임회사에서 근무하는 등 생계를 꾸려갈 직업도 있었다. 전 정부 인사와 야권에 생채기를 내고, 지지율 하락 등으로 수세에 몰린 윤석열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검찰이 국면 전환을 꾀한다는 의심을 거두기 어렵다.

이 사건 수사는 윤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이 전주지검장 재직 시절 본격화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 이원석 검찰총장을 ‘패싱’하며 이 지검장을 서울중앙지검장에 발탁했고, 지난 8월22일 이 지검장은 김건희 여사의 디올백 수수 건에 무혐의 결정을 내렸다. 온 국민이 목격한 김 여사의 뇌물수수 의혹엔 면죄부를 주면서 전임 대통령과 그의 가족엔 무자비하게 칼을 휘두르는 검찰의 권한 남용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및 내각 출신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1일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정치 보복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문재인 정부 청와대 및 내각 출신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1일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정치 보복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