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친한’ 정책위의장도 “제3자 채 상병 특검법, 당내 동의 받기 어렵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친한’ 정책위의장도 “제3자 채 상병 특검법, 당내 동의 받기 어렵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지난달 23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팩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지난달 23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팩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한동훈 대표가 공약했던 제3자 추천 채 상병 특검법에 대해 “당내 동의를 받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친한동훈계로 분류되는 김 의장조차 특검법 당론 발의 가능성이 낮다고 평가한 것이다. 한 대표가 특검법 추진 의사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당내 이견이 적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여야 당대표 회담에 배석했던 김 의장은 지난 2일 YTN라디오에 출연해 “제3자 특검법 이야기를 하더라도 입법화하는 과정은 별개의 과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장은 제3자 특검법을 추진하겠다는 한 대표의 의지는 변함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민주당이) 한 대표가 주장한 제3자 특검법에 관심을 갖고 제3자 특검법에 대한 의향을 물었는데 한 대표는 회담 전에도 저한테 ‘제3자 특검법에 대한 자신의 입장은 그대로 유지를 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회담장으로 들어갔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다만 채 상병 특검법이 공동발표 내용에 빠졌던 건 제가 ‘재발 방지를 하는 게 더 중요하지 수사 결과도 발표되지 않았는데 특검으로 정쟁 여지를 남겨 놓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도 전날 CBS라디오에 출연해 “(한동훈표 특검법은) 이미 그건 시기가 한 고비 넘어선 거 아닌가 생각이 든다”며 “한 대표의 경선 당시 발언은 한 7, 8월쯤 수사 결과도 나오면 거기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강구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전망이었다. 그럴 경우 그때도 제3자 특검 방식으로 추진하면 좋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큰 후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다만 국민의힘은 전날 한 언론의 ‘한동훈표 채 상병 특검법 철회 가닥’ 보도와 관련해 “사실과 다르다”며 “한 대표는 대법원장 추천 방식의 특검법에 대해 기존 입장과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앞서 한 대표는 지난 6월23일 당대표 출마를 선언하며 “진실 규명을 위한 특검을 국민의힘이 나서서 추진해야 한다”며 “당대표가 되면 진실 규명을 할 수 있는 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 종결 여부를 특검 발의 여부의 조건으로 달지 않겠다”며 과거 대법원장이 특검을 지정한 전례를 검토해 볼 수 있다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