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로 3년5개월 만에 최저 상승폭…추석 앞두고 일부 품목 강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로 3년5개월 만에 최저 상승폭…추석 앞두고 일부 품목 강세

추석 연휴를 앞둔 3일 서울 마포구 농수산물시장에 과일들이 진열돼 있다. 한수빈 기자

추석 연휴를 앞둔 3일 서울 마포구 농수산물시장에 과일들이 진열돼 있다. 한수빈 기자

주부 문모씨(53)는 지난달 말 대형마트에서 시금치를 사려다 한 묶음에 5000원이 넘는 가격에 발길을 돌렸다. 배도 지난해보다 두배 가까이 올랐다. 문씨는 “추석 상품 할인이 많을 거라고 기대했는데 비싼 품목은 여전히 비쌌다”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돼지고기 위주로 샀다. 잡채 등 올해 추석상에 올릴 음식 수를 줄일 생각”이라고 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년 5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앞으로 2% 초반대 상승률을 보이며 물가가 안정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추석을 앞두고 일부 품목은 여전히 가격대가 높아 소비자의 체감 물가와 괴리가 있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통계청은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동월비 2.0% 상승한 114.54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2021년 3월(1.9%)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7월(2.6%)보다는 0.6%포인트 내렸다. 체감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 상승률도 2.1%로 지난해 7월(2.0%) 이후 가장 낮았다.

물가상승률이 떨어진 건 농·축·수산물의 영향이 크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2.4% 올랐으나 올해 초 10%대 상승률을 보이다가 지난 5월 8.7%, 7월 5.5%로 상승세가 둔화됐다.

특히 신선식품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2% 오르며, 전월(7.7%)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신선어개(생선·해산물)과 신선채소는 각각 전년동월대비 0.1%, 1.7% 하락했다. 다만 신선과실이 1년 전보다 9.6% 올랐다. 올 여름 폭우·폭염 등 이상기후가 신선과실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전체적 물가 상승률은 떨어졌지만 항목별로 보면 일부 품목이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배는 전년대비 120.3% 올랐다. 지난달 154.6%로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상승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사과(17.0%) 역시 상승폭은 줄었지만 작년에 비해 가격대가 높다. 김(29.8%)과 배추(9.6%), 수입 쇠고기(8.2%) 등도 전년대비 가격이 올랐다. 추석을 앞두고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품목이라 실제 물가와 체감 물가 간 괴리가 생길 수 있다.

채소류의 경우 전월보다 크게 오른 것도 체감 물가를 높이는 요인이다. 시금치와 상추는 지난달보다 각각 62.5%, 41.4% 올랐다. 호박(48.6%), 배추(37.6%)도 가격 상승폭이 크다.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로 3년5개월 만에 최저 상승폭…추석 앞두고 일부 품목 강세

공업 부문은 전년대비 1.4% 올랐다. 석유류 가격은 전년대비 0.1% 올라 6개월만에 최저 상승폭을 기록했다. 국제 유가 하락과 전년도 높은 상승률(8.2%)의 기저효과 등이 영향을 미쳤다.

전기·가스·수도 부문는 전년대비 3.3% 올라 전달(1.0%)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도시가스 6.9%, 지역난방비가 9.8% 오른 영향이다. 서비스 부문은 전년대비 2.3% 올랐다. 보험서비스료가 15.1% 올랐고, 공동주택 관리비도 5.1% 올랐다. 통계청은 유가와 농축수산물 상승세 둔화가 전체 물가 상승 폭을 낮췄다고 분석했다.

황경임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배는 추석 전후로 가격이 좀 더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시금치 등 채소류 일부 품목이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올라 체감 물가가 다소 높게 느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차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에 도달했고, 향후 추가 충격이 없다면 물가상승률은 2% 초반으로 안정될 전망”이라고 했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도 물가상황점검회의에서 “주요 선진국에 비해 물가가 빠르게 안정되고 있다. 큰 공급충격이 없다면 물가상승률은 당분간 현재와 비슷한 수준으로 안정된 흐름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