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금채소’인데?…8월 물가 상승률 3년5개월 만에 최저

김세훈 기자
여전히 ‘금채소’인데?…8월 물가 상승률 3년5개월 만에 최저

전년 동월 대비 2% 상승
농축수산물 상승폭 둔화

시금치 62%·상추 41% 등
일부 품목은 여전히 강세
정부 “추석 전후로 안정”

주부 문모씨(53)는 지난달 말 대형마트에서 시금치를 사려다 한 묶음에 5000원이 넘는 가격에 발길을 돌렸다. 배도 지난해보다 두 배 가까이 올랐다. 문씨는 “추석 상품 할인이 많을 거라고 기대했는데 비싼 품목은 여전히 비쌌다”며 “잡채 등 올해 추석상에 올릴 음식 수를 줄일 생각”이라고 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년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앞으로 2%대 초반 상승률을 보이며 물가가 안정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추석을 앞두고 일부 품목은 여전히 가격대가 높아 소비자의 체감 물가와 괴리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은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한 114.54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2021년 3월(1.9%)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7월(2.6%)보다는 0.6%포인트 내렸다.

체감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 상승률도 2.1%로 지난해 7월(2.0%) 이후 가장 낮았다.

물가 상승률이 떨어진 건 농축수산물의 영향이 크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2.4% 올랐으나 올해 초 10%대 상승률을 보이다가 지난 5월 8.7%, 7월 5.5%로 상승세가 둔화됐다.

특히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2% 오르며, 전월(7.7%)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신선어개(생선·해산물)와 신선채소는 각각 0.1%, 1.7% 하락했다. 다만 신선과실은 1년 전보다 9.6% 올랐다.

항목별로 보면 일부 품목은 여전히 강세를 나타냈다. 배는 120.3% 올랐다. 전달 154.6%로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상승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사과(17.0%) 역시 상승폭은 줄었지만 작년에 비해 가격대가 높다. 김(29.8%)과 배추(9.6%), 수입 쇠고기(8.2%) 등도 전년 대비 가격이 올랐다.

추석을 앞두고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품목이라 실제 물가와 체감 물가 간 괴리가 생길 수 있다.

채소류가 전월보다 크게 오른 것도 체감 물가를 높이는 요인이다. 시금치와 상추는 전월보다 각각 62.5%, 41.4% 올랐다. 호박(48.6%), 배추(37.6%)도 가격 상승폭이 크다.

공업 부문은 1.4% 올랐다. 석유류 가격은 0.1% 올라 6개월 만에 최저 상승폭을 기록했다. 국제유가 하락과 전년도 높은 상승률(8.2%)의 기저효과 등이 영향을 미쳤다.

전기·가스·수도 부문은 3.3% 올라 전달(1.0%)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도시가스가 6.9%, 지역난방비가 9.8% 오른 영향이다. 서비스 부문의 경우 보험서비스료가 15.1% 상승했고, 공동주택 관리비도 5.1% 올랐다.

통계청은 유가와 농축수산물 상승세 둔화가 전체 물가 상승폭을 낮췄다고 분석했다. 황경임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배는 추석 전후로 가격이 좀 더 안정될 것”이라면서도 “시금치 등 채소류 일부 품목이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올라 체감 물가가 다소 높게 느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이날 경제관계차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 목표에 도달했고, 향후 추가 충격이 없다면 물가 상승률은 2%대 초반으로 안정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도 “큰 공급 충격이 없다면 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현재와 비슷한 수준으로 안정된 흐름을 나타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Today`s HOT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