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경력직만 원하는 대기업들…지난해 신규 채용 21.2% 급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경력직만 원하는 대기업들…지난해 신규 채용 21.2% 급감

128개 기업 분석…20대 9.8% 줄고 50세 이상은 54.7% 급증

내가 이력서 낼 곳은… 서울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학교에서 3일 열린 ‘2024 하반기 서울대 채용박람회’에서 학생들이 참가기업 부스를 찾아 채용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내가 이력서 낼 곳은… 서울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학교에서 3일 열린 ‘2024 하반기 서울대 채용박람회’에서 학생들이 참가기업 부스를 찾아 채용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주요 대기업이 신규 채용 인원을 줄이는 데다 기존 직원의 퇴직도 감소하면서 인력 정체 현상이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대 신규 채용은 감소하고, 50세 이상 채용은 늘어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하고, 신규 채용 및 퇴직 인원을 공개한 128개사를 분석한 결과를 3일 발표했다.

경력직만 원하는 대기업들…지난해 신규 채용 21.2% 급감

조사 대상 기업의 지난해 신규 채용 인원은 총 16만5961명이었다. 2022년의 21만717명보다 21.2% 줄고, 2021년의 18만7673명보다도 11.6% 감소했다. 지난해 신규 채용을 줄인 곳은 조사 대상 기업의 63.3%인 81개사였다. 신규 채용을 늘린 곳은 33.6%인 43개사에 그쳤다.

반면 퇴직하는 직원은 줄었다. 조사 대상 기업 중 퇴직 인원을 공개한 88개사의 지난해 퇴직률은 6.3%로 2022년(7.8%), 2021년(6.8%)보다 낮아졌다. 퇴직 인원은 지난해 총 7만1530명으로, 2022년 8만8423명보다 1만6893명(19.1%) 줄었다.

채용 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인력 경직성이 심화하는 추세가 드러난다. 20대 신규 채용은 2021년 8만394명에서 지난해 7만2476명으로 7918명(9.8%)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50세 이상 채용은 6114명에서 9457명으로 3343명 늘어 54.7%의 증가율을 보였다. 리더스인덱스는 “기업에서 경력직 선호도가 높아진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신규 채용 인원이 가장 많이 줄어든 업종은 정보기술(IT)·전기전자다. 2021년 7만645명을 채용했는데, 지난해에는 2만5205명 감소한 4만5440명을 뽑았다. 같은 기간 2차전지(1만9151명→1만413명), 유통(1만3201명→8977명), IT(6442명→4759명), 상사(3672명→259명) 등의 업종에서도 채용 감소폭이 컸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