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박물관·식물원에서도 ‘늘봄학교’ 프로그램을…서울형 늘봄+ 본격 시행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박물관·식물원에서도 ‘늘봄학교’ 프로그램을…서울형 늘봄+ 본격 시행

입력 2024.09.04 11:15

서울 구로 거점형 키움센터에서 운영하던 늘봄학교 프로그램. 서울시 제공

서울 구로 거점형 키움센터에서 운영하던 늘봄학교 프로그램. 서울시 제공

서울시 내 초등학교가 올해 2학기부터 1학년을 대상으로 ‘늘봄학교’를 전면 시행하면서 서울시도 늘봄학교에 공간·인력·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울형 늘봄+(플러스)’를 본격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서울시는 2학기부터 거점형 키움센터 6곳이 초등학교 11곳과 협약을 체결해 늘봄학교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학기 중에는 오후 1~3시, 방학에는 오전 시간에 늘봄학교가 운영된다. 1학기 때인 지난 5월에는 구로 거점형 키움센터가 오류남초·매봉초 1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18개 운영했고, 981명이 참여했다.

서울시는 또 지역아동센터 45곳에 학생 약 350명이 이용할 수 있는 ‘학교 밖 늘봄학교’도 조성한다. 과대·과밀학교의 공간 부족 문제를 해소하려는 조치다. 부모가 긴급한 사유가 발생할 때 아동을 돌볼 수 있도록 긴급·일시돌봄센터도 29곳 운영된다.

서울공예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식물원 등 8개 기관도 늘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프로그램은 총 134회에 걸쳐 운영되며, 25개 학교에서 학생 500여명이 참여할 수 있다. 학교가 기관으로 방문하거나 강사가 학교에 방문할 수 있고, 두 가지를 혼합해 진행할 수도 있다.

내년 3월 강서구 화곡동에 문을 열 강서 거점형 키움센터는 늘봄학교 특화시설인 ‘서울형 강서 늘봄센터(가칭)’로 개편하기로 했다. 센터 인근 1㎞ 내에 초등학교가 6곳, 3㎞ 이내에 18곳이 있어서 이들 학교의 1~2학년생들이 센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형 늘봄+ 신청을 희망하는 학교는 서울시 저출생담당관 늘봄학교지원팀(02-2133-5052·5053)으로 문의하면 신속히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