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곤돌라 착공…서울시 “설치 시 훼손 면적 최소화”

윤승민 기자
남산곤돌라 조감도. 서울시 제공

남산곤돌라 조감도.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2026년 봄 개통을 목표로 남산곤돌라를 5일 착공했다. 서울시는 곤돌라 설치과정에서 남산공원 숲이 파괴된다는 우려가 있어 설치 과정에서 자재를 공중으로 운반하고 훼손 면적도 줄였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이날 중구 예장공원에서 곤돌라 착공식을 개최했다. 예장공원은 곤돌라 하부승강장이 들어서게 된다. 서울시는 곤돌라 설치를 위해 이곳에 자리하던 이회영기념관을 이전했고, 각종 인허가 후 오는 11월부터 본공사를 시작한다.

남산곤돌라는 명동역에서 200m 떨어진 예장공원에 들어설 하부승강장과, 남산 정상부에 세울 상부승강장 사이의 832m를 운행한다. 내년 11월 준공 후 2026년 초 시운전을 거쳐 봄에 정식 운행을 시작할 계획이다. 곤돌라가 운행하면 케이블카와 노선버스, 도보로만 가능했던 남산 정상 접근법이 더욱 다양해진다. 곤돌라에는 휠체어나 유모차도 탑승할 수 있어 노약자와 아이 동반 부모,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남산 접근이 가능하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서울시는 곤돌라 건설이 남산공원 환경을 파괴하리란 우려를 고려한 듯 서울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 자문 의견을 반영한 곤돌라 기본설계안과 공사계획도 공개했다.

곤돌라 하부승강장과 상부승강장 사이에는 지주(기둥)가 5개 필요한데, 이를 철탑형 대신 원통형으로 바꿔 훼손 면적을 최소화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5개 중 남산공원 숲에 설치하는 것은 2개다. 주변 경관 영향을 고려해 최고 45, 50m였던 중간 지주 높이도 35, 35.5m로 각각 줄였다.

서울시는 중간 지주 설치 때 자재 운반은 삭도를 가설해 공중으로 하기로 했다. 지상으로 자재를 나르다 숲이 훼손되는 상황을 줄이겠다는 의도다. 또 중간 지주 설치로 훼손된 숲은 복원해 훼손되는 면적을 20㎡로 줄이겠다고도 했다.

서울시는 지난 5월 ‘남산공원 보전 및 이용에 관한 기본 조례’를 제정해 곤돌라 운행수익 전액을 남산 생태환경 보전사업 등 자연 보전과 시민 여가를 위해서만 활용하기로 규정했다. 서울시는 “남산 생태 보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일 것”이라고 했다.

남산곤돌라 건설 계획안. 서울시 제공

남산곤돌라 건설 계획안. 서울시 제공


Today`s HOT
도모산 중독 의심되는 바다사자를 구조하는 자원봉사자들 사흘간 베트남 방문하는 브라질 대통령 환영식 다저스 오타니 쇼헤이의 홈런 순간 진화율 진척, 추가 확산 막으려는 장병들과 시민들
올해의 신간 홍보 준비하는 라이프치히 도서전 이드 알피트르에 앞서 옷을 구매하려는 여성들
신기한 영국의 소인국 레고랜드, 사람들의 관심을 끌다. 봄을 맞이하는 준비하는 보트 수리공
벚꽃이 만개한 이탈리아 토리노 공원 잠시나마 쉬어가는 란체론 해변 용암 분출 잦은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 남미 볼리비아, 우기로 침수된 거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