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증가 폭 역대 최대 규모
10대, 10만명 늘어 32% 차지
‘딥페이크(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합성)’ 성 착취물 유포의 온상이 된 메신저 텔레그램의 국내 이용자가 지난달 역대 최대 규모로 급증했다.
5일 앱 분석서비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8월 텔레그램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347만1421명으로 전월보다 31만1130명 증가했다. 증가 폭은 2021년 3월 앱 마켓 집계가 시작된 이후 최대 규모다.
연령별로는 10대 이하 월간 활성 이용자가 7월 41만1754명에서 8월 51만1734명으로 9만9980명 급증해 전체 증가 폭의 32.1%를 차지했다. 미성년자가 대부분인 10대가 한 달 사이 10만명가량 불어난 것이다. 10대 이용자 증가 폭은 50대(2만8421명)의 3.5배, 60대 이상(4291명)의 23배다.
최근 특정 인물의 얼굴 등을 영상에 합성한 딥페이크 논란이 확산하면서 호기심에 텔레그램에 접속한 10대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이에 당국이 단속을 강화하고 있음에도 딥페이크 성 착취물 유포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국내에서 딥페이크 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에서 10대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딥페이크 논란 이후 당국의 집중단속이 이뤄진 지난달 26∼30일 딥페이크 범죄 신고는 총 118건 접수됐는데, 특정된 피의자 33명 중 31명, 검거된 7명 중 6명이 10대로 파악됐다. 또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따르면 올해 1월1일부터 8월25일까지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 딥페이크 피해 지원을 요청한 781명 가운데 36.9%(288명)도 10대 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