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설야 시인
[詩想과 세상]병원
살구나무 그늘로 얼굴을 가리고, 병원 뒤뜰에 누워, 젊은 여자가 흰옷 아래로 하얀 다리를 드러내놓고 일광욕을 한다. 한나절이 기울도록 가슴을 앓는다는 이 여자를 찾아오는 이, 나비 한 마리도 없다. 슬프지도 않은 살구나무 가지에는 바람조차 없다.

나도 모를 아픔을 오래 참다 처음으로 이곳에 찾아왔다. 그러나 나의 늙은 의사는 젊은이의 병을 모른다. 나한테는 병이 없다고 한다. 이 지나친 시련, 이 지나친 피로, 나는 성내서는 안 된다.

여자는 자리에서 일어나 옷깃을 여미고 화단에서 금잔화 한 포기를 따 가슴에 꽂고 병실 안으로 사라진다. 나는 그 여자의 건강이-아니 내 건강도 속히 회복되기를 바라며 그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본다.

윤동주(1917~1945)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시인 중에 윤동주의 이름은 단연 빛나고 오롯하다. 그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원래 제목은 <병원>이었다고 한다. 시인은 ‘세상은 온통 환자투성이’라며 당시 ‘육첩방’이 된 나라를 ‘병원’으로 보았다. 병원 뒤뜰에는 얼굴을 가린 “젊은 여자가 흰옷 아래로 하얀 다리”를 “드러내놓고 일광욕”을 하고 있다. “가슴을 앓는다는 이 여자”에게서 자신과 닮은 슬픔을 본다. 시인은 자신도 모르는 병에 걸려 병원에 왔는데, “늙은 의사”는 “젊은이의 병을 모”르고, “나한테는 병이 없다”고 한다.

여자가 “화단에서 금잔화 한 포기”를 가슴에 안고 병실로 들어간다. 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그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보는 것이다. 이는 타인의 고통에서 나의 “지나친 피로”와 “시련”을 보고, 나와 다르지 않은 그 고통 속에 내 몸을 담는 것이다. 지금 세상은 온통 병을 앓는 사람들로 빽빽하다. 모두가 병중인데, 병명을 모른다고 한다. 응급실에는 의사가 없고, 우린 아프기도 겁나는 시절을 지나고 있다. 이 가을, 수심을 모르는 바다처럼, 깊어가는 하늘처럼 우리도 푸르게 회복할 수 있기를.


Today`s HOT
브라질의 더운 날씨, 더위를 식히려는 모습 동남아 최초, 태국 동성 결혼 시행 주간 청중에서 산불 겪은 미국을 위로하는 프란치스코 교황 안티오크 학교 총격 사건으로 미국은 추모의 분위기..
각 나라 겨울의 눈보라 치고 안개 덮인 거리 카스타익에서 일어난 화재, 소방관들이 출동하다.
다수의 사망자 발생, 터키의 한 호텔에서 일어난 화재.. 프랑스 에너지 강화 원동력,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
휴전 이후의 가자지구 상황 인도네시아의 설날을 준비하는 이색적인 모습 인도네시아의 뎅기 바이러스로 인한 소독 현장 미국의 폭설로 생겨난 이색 놀이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