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조주완 LG전자 대표 “중국 기업, 폄하 말고 무서워해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조주완 LG전자 대표 “중국 기업, 폄하 말고 무서워해야”

IFA 현장서 업체들 부스 평가

“과거 일본 회사들 전철 안 돼”

조주완 LG전자 대표 “중국 기업, 폄하 말고 무서워해야”

“중국 기업은 폄하 대상이 아니라 무서워해야 할 대상입니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사진)는 ‘IFA 2024’가 개막한 지난 6일(현지시간) 기자들을 만나 “중국 업체 전시를 보니 굉장히 많이 따라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올해 IFA 전시에서 중국 업체들은 한국이나 독일 회사의 제품과 외관으로는 큰 차이를 못 느낄 정도로 수준 높은 제품들을 선보였다.

다만 어디서 본 듯한 닮은꼴 제품과 부스 콘셉트는 여전했다. 하이센스는 LG전자의 이동형 AI 홈 허브 ‘Q9’과 흡사한 외형의 반려 로봇 ‘할리’를 선보였고, TCL은 LG전자의 공간 디자인 TV ‘LG 올레드 오브제컬렉션 포제’를 떠올리게 하는 TV를 선보였다.

다만 설익은 기술이어도 과감하게 제품을 내놓으며 기술력을 높여가는 방식은 한국 기업에도 큰 위협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조 대표는 “프리미엄 전략이라고 무작정 비싼 가격이 아니라 약간 낮은 가격대 제품도 수입이 부족한 사람에게는 프리미엄 제품이 될 수 있다”며 “과거 일본 회사들이 프리미엄만 하고 가성비 제품은 안 하다가 우리에게 자리를 내주었던 전철은 밟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도 1위인 로보락 등 로봇청소기 시장은 이미 중국이 장악하고 있다. 조 대표는 “우리가 늦었다. (최근 출시한 로보킹은) 중국 선점 업체들에 비해 동등 이상이라고 본다”며 “밀리면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기 때문에 어떻게든 제대로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글로벌 투자자들과 적극 소통하겠다고도 밝혔다.

조 대표는 “B2B(기업 간 거래)가 전체 매출의 35%를 차지할 정도로 사업구조 밸런스가 좋은데 이처럼 잘 노출이 안 됐던 얘기를 알리려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