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원’ 못 박기?…교육부, 의대 수시 접수 현황 이례적 취합 발표

김원진 기자

첫날 1.14 대 1…‘정원 넘겨 백지화 불가’ 메시지 주려는 듯

정부가 눈치작전 부추겨 수험생 불안만 가중…비판 목소리

<b>의학교육 여건 개선 이렇게</b> 오석환 교육부 차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학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zenism@kyunghyang.com

의학교육 여건 개선 이렇게 오석환 교육부 차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학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투자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zenism@kyunghyang.com

교육부는 9일 시작된 대입 수시모집의 의과대학 원서 접수 현황을 10일 공개했다. 교육부가 의대 수시모집 현황을 이례적으로 공개한 조치는 의료계가 여전히 증원 백지화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2025학년도 의대 증원을 되돌리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특정 학과 수시모집 경쟁률 공개가 수험생들 사이에 혼선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9일 접수를 시작한 31개 의대의 첫날 경쟁률이 1.14 대 1(오후 6시 기준, 2635명 모집에 3008명 지원)을 기록하며 이미 지원자가 모집 인원을 넘겼다. 지역인재 전형은 1462명 모집에서 1118건 지원으로 경쟁률 0.76 대 1이었다.

‘증원’ 못 박기?…교육부, 의대 수시 접수 현황 이례적 취합 발표

2025학년도 전체 39개 의대(의학전문대학원인 차의과대 제외) 정원은 4610명이며, 3명 중 2명(67.6%)에 해당하는 3118명을 수시모집에서 선발한다. 수시·정시를 통틀어 학생부 교과 전형(34.2%)의 선발 비율이 가장 높다. 지역인재 전형에서도 수시·정시를 합쳐 학생부 교과(56.4%)의 선발 비율이 절반을 넘는다. 2025학년도 수시모집 원서 접수는 오는 13일까지 이뤄진다.

정부가 특정 학과의 수시모집 경쟁률을 구체적으로 공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정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 상황에서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못 박기 위해 수시모집 현황을 공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의대 수시모집의 지원 건수가 이미 모집 정원을 넘어섰으니 2025학년도 의대 증원은 무를 수 없다는 메시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수시모집 원서 접수 업체 등에서 모집 단위별 경쟁률 현황을 공개하긴 하지만, 학원가에서도 모집 기간 중 별도 분석 자료 발표를 자제하는 것이 관행이다. 눈치작전을 부추기거나 불안을 가중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수험생 혼란이 입시 컨설팅 등 사교육비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전국 대학 정원 규모 등을 총괄하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2025학년도 입시에 변화가 있으면 입시 전체가 큰 혼란에 빠질 것이 우려된다”고 했다. 대교협은 입장문에서 “수시모집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모집 일정이나 인원 등 주요 내용이 바뀌면 수험생들에게 큰 피해가 될 것”이라고 했다.


Today`s HOT
월식 전의 보름달, 관람하고자 모인 사람들 마이애미 비치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 이스라엘 유대인들을 위한 명절, '푸림' 기차를 끌어 기네스 인증 받은 레슬링 선수 마흐루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인력 감축에 항의하는 사람들 갑작스런 토네이도로 아수라장된 피코 리베라
유소년 선수들 만난 이글스 스타 콘 바클리 나폴리서 규모 4.4 지진, 새벽부터 놀란 시민들
안개가 자욱한 호주 캔버라의 모습 BNP 파리바 여자 테니스 경기 우승자, 벨린다 벤치치 아세안 국가 중 GDP 성장 최고인 베트남의 모습 인도 홀리 축제 준비하는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