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10대부터 60대까지 사용 시간 1위 앱은 OOO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10대부터 60대까지 사용 시간 1위 앱은 OOO

세대별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   와이즈앱·리테일·굿즈 제공

세대별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 와이즈앱·리테일·굿즈 제공

유튜브가 10대(20세 미만)부터 60대 이상까지 국내 전 세대에서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세대에 걸쳐 동영상 콘텐츠 앱이 상위권에 올라 ‘숏폼(짧은 영상)’의 강세를 보여줬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조사한 결과, 지난달 유튜브 총 사용시간은 1174억분으로 모든 세대를 합쳐 가장 오래 사용한 앱으로 집계됐다.

1위인 유튜브는 모든 세대에서 100억분 이상 사용한 것으로 집계돼 다른 앱과 큰 격차를 보였다. 20대는 사용 시간이 274억8000만분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장 적은 60대 이상도 138억4000만분으로 집계됐다.

2위부터는 세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10~20대는 인스타그램이 2위였지만, 30대부터는 카카오톡이 2위를 기록했다. 10대의 경우 카카오톡 사용 시간이 인스타그램의 절반에도 못 미쳤는데, 인스타그램 DM을 메신저처럼 사용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인스타그램은 지난 5월 해당 집계에서 처음으로 네이버를 제치고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 3위에 올랐다. 2021년 숏폼 서비스 ‘릴스’를 출시한 이후 MZ 세대 이용자를 빠르게 끌어모은 것으로 분석됐다. 숏폼이 콘텐츠 이용의 ‘대세’가 되면서 네이버·카카오 등 한국 플랫폼도 관련 동영상 서비스를 강화하는 추세다.

젊은층에서 주로 사용하던 틱톡(틱톡 라이트)이 전 세대에서 10위권에 든 것도 눈에 띄었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중에는 넷플릭스가 유일하게 10위 안에 들었다. 이 밖에 게임·웹툰 서비스는 10~30대에서 순위권에 들고, 쿠팡·당근 등은 40대 이상에서만 순위에 든 것도 세대별 이용 경향을 보여줬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