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잇단 김건희 공천 개입설, 당사자들 부인하면 없는 일인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잇단 김건희 공천 개입설, 당사자들 부인하면 없는 일인가

서울의소리 유튜브 갈무리

서울의소리 유튜브 갈무리

김건희 여사의 국민의힘 공천 개입설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고 있다. 이번에는 김 여사가 22대 총선 당시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현 공직기강비서관) 공천에 개입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녹취록이 공개됐다. 김 여사 공천 개입설에 연루된 당사자들은 관련 의혹을 부인하지만 그냥 지나갈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서울의소리가 23일 공개한 녹취록에 따르면, 22대 총선 경기 용인갑에 공천을 신청한 김대남 전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은 지난 2월 서울의소리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철규가 용산 여사를 대변해서 공천관리위에서 일을 하고 있다”며 “아주 그냥 여사한테 이원모 하나 어떻게 국회의원 배지 달게 해주려고 저 XX을 떨고 있다”고 말했다. 김 여사가 공관위원이자 여당 인재영입위원장인 이철규 의원을 통해 이 전 비서관을 공천시키려 했다는 취지다. 이 전 비서관은 용인갑에 우선추천(전략공천)됐지만 낙선했다. 앞서 뉴스토마토는 명태균씨가 2022년 6·1 경남 창원의창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김 여사와의 인연을 활용해 김영선 전 의원이 공천받도록 했다는 취지로 말한 통화내용을 공개했다. 뉴스토마토는 22대 총선에선 김 여사가 김 전 의원에게 지역구를 옮겨 출마할 것을 제안하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당사자들은 일제히 김 여사 개입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김 여사가 직접 등장하거나 보낸 육성·문자가 나오지도 않았다. 그렇지만 김 여사가 공천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단정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김 전 행정관의 법률대리인은 “(올 2월) 김 여사 개입 문제를 인정하는 듯 표현했으나, 과장된 표현”이라고 했는데, 이제 와서 거짓말이었다고 하면 누가 곧이곧대로 믿겠는가. 명씨도 ‘메시지는 김 여사가 김 전 의원이 아니라 나에게 보낸 것’이라고 했지만, 김 여사가 명씨와는 무슨 자격으로 공천을 논의했다는 건가.

상황이 이쯤 되면 대통령실은 사실관계를 소상하게 설명하고 의혹을 해소하는 게 마땅하다. 그런데 “당사자들이 다 부인하고 있다”는 식으로 본질을 피해 의구심만 키우고 있다. 야당 주도로 지난 19일 국회를 통과한 ‘김건희 특검법’ 수사 대상에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이 포함됐다. 23일엔 시민단체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을 고발했다. 대통령실은 김 여사 문제 방어막 치기에 급급할수록 수사를 통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가 커진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