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란계 농장. 연합뉴스
‘달걀을 낳지 않는 닭’이 있는 케이지를 인공지능(AI) 기술로 자동 식별해주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농가에서 선별에 필요한 노동력을 줄이고, 사료비를 아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진흥청은 달걀 모음기(집란벨트) 위에서 이동하는 달걀과 케이지별로 수집한 달걀 수를 AI 기술로 자동 분석한 후, 비산란계와 과산계(산란율이 50% 미만)가 있는 케이지를 쉽게 구분해내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통상 사육되는 닭의 3% 내외는 비산란계이거나 과산계로, 농가 입장에서는 하루라도 빨리 솎아내야 생산비를 아낄 수 있다. 전문가를 고용해 닭 치골 부위 등을 일일이 확인한 후 알을 낳지 않는 이상 개체를 선별하기도 하지만, 이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농진청은 문제가 있는 닭을 곧바로 선별하지 못하면서, 국내 전체 산란계 사육 수(5576만 마리)를 기준으로 매년 389억원의 사료비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경제 많이 본 기사
농진청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한 AI 자동 식별 기술을 활용하면 10만 마리를 사육하는 산란계 농가의 경우 3%에 해당하는 3000 마리의 비산란계 또는 과산계를 솎아낼 수 있고, 이를 통해 연간 약 7000만원의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며 “생산비뿐 아니라 시간과 노동력을 줄여 작업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농진청은 또 이상 개체가 있는 케이지와 케이지별 평균 산란 수 등을 컴퓨터나 태블릿 등으로 쉽게 볼 수 있는 웹 기반의 정보 수집(모니터링) 시스템도 개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