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긴 구직에 장사 없다…일, 하기도 전에 지치는 청년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긴 구직에 장사 없다…일, 하기도 전에 지치는 청년들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 중 15~29세가 32.4%…‘쉬었음’ ‘단념’도 급증

긴 구직에 장사 없다…일, 하기도 전에 지치는 청년들

6개월 이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장기 실업자 3명 중 1명은 15~29세 청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을 원하지만 구직을 포기한 ‘청년 구직 단념자’, 집에서 그냥 쉰 ‘쉬었음’ 청년도 늘어나는 추세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올해 1∼8월 6개월 이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장기 실업자는 월평균 9만858명으로 1년 전보다 약 13%(1만448명) 늘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이하 장기 실업자가 전체의 절반 이상(55.7%)에 달한다. 15∼29세 청년층이 32.4%(2만9442명)로 가장 많았고, 30대는 23.3%(2만1177명)로 뒤를 이었다.

장기 실업자 중 청년층 비중은 늘어나는 추세다. 올 1~8월 15~29세 청년층 장기 실업자는 1년 전보다 4854명 늘어 모든 연령대 중 증가 폭이 가장 컸다.

같은 기간 장기 실업자에서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30.6%에서 32.4%로 늘어났다.

구직활동을 하지 않아 실업률 통계에 잡히지 않는 ‘그냥 쉬었음’ 청년도 늘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달 19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를 보면,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 ‘쉬었음’ 청년은 5월 기준 지난해 8만명에서 올해 8만2000명으로 늘었다.

지난 1년간 구직활동을 했지만 직전 한 달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아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는 ‘청년 구직 단념자’도 늘었다. 올 1∼5월까지 청년 구직 단념자는 월평균 12만명으로 1년 전(10만9000명)보다 약 1만1000명 늘었다.

청년 일자리 문제에 대한 정부 인식이 안이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달 9일 대정부질문에서 “25~29세에서는 역사상 가장 높은 고용률인 72.3%를 보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실업률 수치에 들어가지 않는 ‘그냥 쉬었음’ 청년과 구직단념 청년들의 수치를 외면해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