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야생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야생화

[임의진의 시골편지]야생화

옛날 깐날엔 라디오 드라마 주제곡으로 인기를 끈 가수들이 꽤 있었다. 드라마 <작은 연인들>도 그랬는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애창곡 가운데 하나였다지. “언제 우리가 만났던가~ 언제 우리가 헤어졌던가~ 만남도 헤어짐도 아픔이었지…” 노래를 부른 가수 김세화는 여고생 때 디제이 이종환 아저씨가 알아보고 즉석 데뷔를 시켰단다. 본명은 김홍진, 통기타 가수 김세환을 추앙한 나머지, 이름을 김세화로 바꿨다지. 영화 <겨울 여자>에서도 ‘눈물로 쓴 편지’를 구슬프게 불렀다. 심장을 졸게 하는 애처로운 노래를 즐겨 부른 가수다. 그중에 ‘야생화’란 노래가 있는데, 외국곡에다 가사를 입혔다. “난 한적한 들에 핀 꽃, 밤이슬을 머금었네. 나를 돌보는 사람 없지마는 나 웃으며 피었다네. 누굴 위해 피어나서 누굴 위해 지는 걸까. 가을바람이 불면 져야 해도 나는 웃는 야생화…”

서울에서 전시를 마치고 돌아왔더니 산길에 꽃무릇이 와륵 피어 반긴다. 구겨진 빵봉지 속 남은 조각은 강아지들 주고, 먹다 남긴 낙원떡집의 떡보따리를 풀어 냉동칸에 넣었다. 음반 한 장과 우전 녹차 한 잔으로 심장에 맺힌 땀을 씻고, 바깥마당과 산길로 접어들며 꽃구경. 오가는 이 드문 동네라 나 말고는 특별히 보아주는 이 없겠다만, 애썼다~ 수고했다~ 꽃들아!

나는 공터란 말을 되게 좋아한다. 채워지지 않은, 휑하니 빈 그곳에 부는 바람이 좋아. 공터에 찾아온 가을이 좋아라. 공터나 마찬가지 한적하고 외딴 마을에 뜬 별들, 산길에 핀 붉은 꽃무릇. 좋아하는 곳에 살아서 좋고, 거기다가 좋은 일이 많이 생기면 더 좋고. 꼬이고 답답한 일도 좋게좋게 풀어야지. 야생화 곁에서 야생인처럼 살며 나와 당신, 야물어져야지.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