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10년간 남성 육아휴직 15배 늘었지만…‘5인 미만’은 5배 증가 그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10년간 남성 육아휴직 15배 늘었지만…‘5인 미만’은 5배 증가 그쳐

10년간 남성 육아휴직 15배 늘었지만…‘5인 미만’은 5배 증가 그쳐

최근 10년간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81.1% 늘어났지만 5인 미만 사업장의 증가율은 전체 사업장 평균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사업장 규모에 따른 육아휴직 양극화가 나타난 것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기업규모별 육아휴직급여 수급자 수 현황’을 보면, 지난해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12만6008명으로 2013년(6만9587명)보다 2배 가까이 늘었다.

수급자 증가율은 5인 미만 사업장이 가장 낮았다. 2013년부터 올해 7월까지 사업장 규모별 육아휴직 수급자는 5~100인 사업장에서 121.3%, 100~300인에서 138.3%, 300인 이상에서 60.5% 늘었다. 하지만 5인 미만 사업장의 수급자 증가율은 29.3%에 그쳤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에서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남성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지난해 3만5336명으로 2013년(2293명)보다 15배 이상 늘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5~100인 사업장에서 13배, 100~300인 22배,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16배 늘었다. 이에 반해 5인 미만 사업장은 383명에서 2118명으로 5.5배 느는 데 그쳤다.

여성 수급자도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증가율이 낮았다. 여성 수급자는 지난해 9만672명으로 2013년(6만7294명)보다 34.7% 늘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5~100인 사업장 84.9%, 100~300인에서 69.4% 늘었다. 이에 비해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9.3% 증가하는 데 그쳤다.

김 의원은 “사업장 규모에 따라 육아휴직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소규모 사업장 상황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