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분만 출산 비율이 급감하면서 산모 3명 중 2명은 제왕절개로 아이를 낳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자연분만 진료 인원은 14만5325명에서 8만102명으로 44.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제왕절개 진료 인원은 15만2014명에서 14만5519명으로 4.3%만 줄면서 전체 분만 건수에서 제왕절개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2019년 제왕절개과 자연분만 합산 진료 인원 29만7339명 중 자연분만과 제왕절개 비율은 각각 49.9%와 51.1%로 절반가량씩을 차지했다. 자연분만 비율은 감소 추세를 보이면서 지난해에는 35.8%까지 떨어졌다. 반면 제왕절개 비율은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64.2%를 차지했다.
올해 상반기 자연분만을 선택한 산모는 3만7960명, 제왕절개를 선택한 산모는 7만7102명으로 제왕절개 비율이 67%에 달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국 17개 광역시도 전역에서 최근 5년간 자연분만이 급감했다.
- 사회 많이 본 기사
서울은 2019년 2만5550명에서 지난해 1만3769명으로 절반가량 줄었다. 같은 기간 부산은 7154명에서 3461명, 광주는 5028명에서 2931명, 세종은 1745명에서 903명, 강원은 3366명에서 1781명, 충북은 4042명에서 2102명 등으로 감소했다.
김 의원은 “자연분만이 지속해서 큰 폭으로 감소하는 이유에 대해 정밀한 실태 파악이 필요하다”며 “다양한 원인을 분석해 보다 안전하고 건강하게 아이를 출산할 수 있는 의료환경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