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배추·무 등 채소값 급등세 여전…작황 호전 과일값은 안정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배추·무 등 채소값 급등세 여전…작황 호전 과일값은 안정세

입력 2024.10.03 21:01

이달 가을배추 출하 전까지는 금값

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배추 한정 구매 안내문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배추 한정 구매 안내문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이달 배추와 무 등 채소값은 1년 전에 비해 대폭 오르고, 사과와 배 등 과일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이 발간한 ‘농업관측 10월호’ 보고서를 보면, 이달 배추(상품) 도매가격은 10㎏에 1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38.4%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월(2만4874원) 대비 약 40% 낮지만, 평년 가격(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보다는 43% 비싸다.

이는 배추 정식(다시 심기) 이후 지난달 고온과 가뭄 영향으로 해발 400~600m 준고랭지 배추 생산이 감소하고, 폭우 피해가 겹친 탓이다.

농경연은 다만 이달 중순 이후 가을배추가 출하되면서 가격이 점차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을배추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5.2∼8.1% 감소한 114만2000∼117만7000t으로 예측됐다. 겨울배추 재배면적은 전년과 평년 대비 각각 2.7%, 2.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무도 작황 부진 여파로 도매가격이 20㎏에 1만8000원으로 62.7% 상승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평년보다 18.3% 오른 수준이다. 다만 이달 중순 이후 상대적으로 작황이 양호한 준고랭지에서 무가 출하되면서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봤다.

이외에 당근 도매가격은 20㎏에 7만원으로 1년 전과 평년보다 각각 25.1%, 34.3% 높을 것으로 예측했다. 또 백다다기오이 도매가격은 100개에 6만원으로 1년 전, 평년보다 각각 5.0%, 23.8%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농경연은 이달 사과와 배 등 과일 가격은 작황 개선으로 공급량이 늘면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봤다. 사과(양광) 도매가격은 10㎏에 4만8000∼5만2000원으로 28.7∼34.2%, 배(신고)는 15㎏에 4만원 정도로 25.0%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사과 생산량은 최대 48만1000t으로 지난해보다 21.8% 늘지만, 평년보다는 2.1∼5.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 생산량은 21만3000t으로 지난해보다 15.6%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