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번 돈 그대로 은행에…가계대출자 157만명, 연소득 100% 대출 갚는 데 붓는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번 돈 그대로 은행에…가계대출자 157만명, 연소득 100% 대출 갚는 데 붓는다

가계대출자 14%, 연 소득의 70% 이상 상환

다중채무·저신용 등 부실 위험 채무자도 증가

번 돈 그대로 은행에…가계대출자 157만명, 연소득 100% 대출 갚는 데 붓는다

연 소득 전부를 대출을 갚거나 이자로 쓰는 가계대출자가 157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최기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2분기 말 국내 가계대출자는 1972만명 중 8%인 157만명은 평균적으로 연 소득의 100% 이상을 모두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 소득의 70% 이상을 빚을 갚는 데 쓰는 대출자는 275만명(13.9%)이었다.

업계에선 통상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즉 한해 갚아야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값이 70% 수준이면 최저 생계비를 제외한 모든 소득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해야 하는 상황으로 본다.

부실 위험 채무자 비율도 늘고 있다.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는 올해 2분기 말 452만명으로 작년 2분기 말(448만명) 대비 4만명 증가했다. 이중 DSR 70% 이상인 차주는 117만명으로 다중채무자의 25.9%를 차지했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이거나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취약 차주는 올해 2분기 말 129만명으로 작년 2분기 말(126만명) 대비 3만명 증가했다.

은행의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다. 소득으로 원리금과 이자를 충당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연체가 쌓이는 셈이다. 올해 2분기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0.03%포인트 높아진 0.36%였다. 비은행 가계대출 연체율도 같은 기간 0.3%포인트 상승해 2.12%였다.

최 의원은 “소득이나 신용이 낮은 취약 차주의 약 3분의 1은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대출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금융당국은 가계 차주의 채무상환 부담 등을 면밀히 점검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