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암 환자 재발·사망 위험 높이는 당뇨··· 진단 후 체중 줄여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암 환자 재발·사망 위험 높이는 당뇨··· 진단 후 체중 줄여야

암 환자의 사망 위험을 높이는 당뇨를 예방하려면 체중을 줄여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픽사베이

암 환자의 사망 위험을 높이는 당뇨를 예방하려면 체중을 줄여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픽사베이

암을 치료한 뒤 당뇨 위험을 줄이려면 체중을 줄여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조인영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구혜연 교수,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연구팀은 암 진단 후 체중 변화가 당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암 연구와 치료(Cancer Research and Treatment)’에 게재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은 2010~2016 년 암을 진단받은 환자 26만4250명을 암 진단 전후 정상 체중을 유지한 집단(61.8%), 비만이었다가 정상 체중이 된 집단(7.4%), 정상 체중에서 비만이 된 집단(5.5%), 비만 상태를 유지한 집단(25.2%)으로 나눠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정상 체중을 유지한 집단을 기준으로 했을 때 당뇨병 발병 위험은 비만 지속 집단이 2.17배로 가장 높았다. 정상 체중에서 비만이 된 집단은 1.66배, 비만이었다가 정상 체중으로 살을 뺀 경우에는 1.29배였다. 비만이 당뇨 위험을 올린다는 점과 함께 정상 체중으로 감량하면 위험을 비교적 낮출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정상 체중을 유지한 집단의 특성을 보면 상대적으로 여성의 비율이 높고 연령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체중을 유지한 집단과 비만에서 정상 체중이 된 집단은 흡연과 음주를 덜하는 대신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경향도 보였다. 이와 달리 비만인 상태가 지속되거나 체중이 증가한 그룹은 흡연과 음주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평균 추적관찰기간 4년 동안 전체 환자의 4.6%는 당뇨병 진단을 새로 받았다. 당뇨병은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하고 재발률을 높일 수 있어 암 환자가 당뇨를 동반할 경우에는 사망률이 1.4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인영 교수는 “암 진단 후 비만인 상태를 방치하면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으로 이어지기 쉽다”면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게 암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만큼 필요한 경우 암 진단시 적극적인 체중관리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