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지난해 무재해 기업 44곳…전년보다 4곳 줄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지난해 무재해 기업 44곳…전년보다 4곳 줄어

지난해 무재해 기업 44곳…전년보다 4곳 줄어

지난해 재해가 1건도 없었던 무재해 기업은 40곳으로 전년 대비 4곳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국내 500기업 중 재해율을 공개한 171곳의 최근 2년간 재해율 현황을 조사해 9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기업의 평균 재해율은 1.30%로 전년(1.23%) 대비 0.07%포인트 증가했다. 무재해 기업은 2022년 44곳에서 지난해 40곳으로 4곳 줄었다.

지난해 재해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농기계 제조업체인 대동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동의 재해율은 12.70%로 전년(14.70%) 대비 2.00% 포인트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대동의 재해율은 조사대상 171곳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10%를 넘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지난해 재해율은 10.20%로 2위를 차지했다. 세아베스틸(8.96%), 제주항공(7.83%), 금호타이어(7.71%), 영풍(7.00%), 동원F&B(6.66%), 엘에스엠앤엠(5.40%), 세아제강(5.38%), 코웨이(4.82%)가 뒤를 이었다.

매출 상위 10대 기업의 지난해 재해율은 현대자동차(1.89%), 현대모비스(3.01%)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0.10%), 기아(1.24%), LG전자(0.73%), LG화학(0.80%), 한화(0.20%),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0%), GS칼텍스(0.58%), 한국가스공사(0.10%) 등이었다.

현대모비스의 경우 기존에는 정부 보고대상 건만 집계했으나 지난해부터 1일 이상 휴업 건을 기준으로 재해율을 산정하면서 기준이 강화돼 2022년(0.72%) 대비 2.29%포인트 증가했다.

2년 연속 재해율 0%를 기록한 기업은 SKTI, 현대글로비스, SK텔레콤, LX인터내셔널, 삼성E&A, 포스코이앤씨, SK네트웍스, DL이앤씨, SGC에너지 등 총 30곳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철강 업종의 평균 재해율이 지난해 4.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자동차·부품(2.43%), 조선·기계·설비(1.91%), 식음료(1.90%), 운송(1.82%), 생활용품(1.25%), 유통(1.18%), 석유화학(1.02%) 순으로 나타났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