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간호사 64% “무분별한 업무로 어려움…과로 시달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간호사 64% “무분별한 업무로 어려움…과로 시달려”

지난 3월 7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병동에서 의료진이 업무를 보고 있다. 권도현 기자

지난 3월 7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병동에서 의료진이 업무를 보고 있다. 권도현 기자

정부가 전공의 집단 사직 이후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을 시행한 지 7개월이 지났지만, 간호사의 30%가량은 모호한 업무 범위 때문에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9일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달 소속 간호사 650명(전담간호사 336명·일반간호사 289명·전문간호사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업무 관련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정부는 지난 2월 의·정 갈등으로 생긴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간호사업무 관련 시범사업을 시행했다. 시범 사업을 통해 간호사가 의사 업무 일부를 분담하되 이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협의 업무 외 다른 일은 전가할 수 없도록 했다.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조사 대상자 중 40.5%(263명)는 시범사업 참여 기관 소속이었고 21.7%(141명)는 미참여 기관 소속이었다. ‘참여 여부를 모른다’는 응답은 37.8%(246명)였다.

응답자의 65.2%(424명)는 “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중 절반 가량인 206명은 ‘업무 책임 소재 불분명으로 인한 불안감’을 어려움의 원인으로 꼽았다. 응답자들은 “업무 범위가 모호하고 교육 체계가 없어 환자 안전사고나 의료사고 시의 책임에 대해 불안하다”고 답했다.

66명은 ‘승진 및 발전에서의 한계’로 인해 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했고, 33명은 ‘간호사가 전공의 업무를 하는 것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부정적 반응’을 불안감의 이유로 꼽았다. ‘전공의 복귀 시 언제든 부서가 바뀔 수 있다는 불안감’을 꼽은 이들도 31명이다.

전체 설문 참여자 중 64.0%(416명)는 무분별한 업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무분별한 업무의 어려움을 호소한 416명 중 162명은 “직무 기술서 없이 인턴·전공의·간호사 업무를 무분별하게 하고 있다”고 답했다. 나머지 105명은 “무분별한 업무와 기타 잡무로 해야 할 일이 너무 많다”고 했다.

이 밖에 20명은 임상연구 보조, 누락된 진료기록 작성 등 부당한 업무 강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고, 19명은 의사 등과 갈등으로 업무가 어렵다고 답했다. 간호사의 64.5%(419명)는 과도한 업무와 인력 부족 등으로 시간외근무를 하고 있었다. 또 71.5%(465명)는 휴게시간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