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내년 누리호 4차 발사 준비 시동…11월 ‘단 조립’ 착수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내년 누리호 4차 발사 준비 시동…11월 ‘단 조립’ 착수

우주청·항우연·한화에어로 기술회의 개최

지난해 5월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3차 누리호가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지난해 5월25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3차 누리호가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에 본격적인 시동이 걸렸다. 다음달부터 총 3단으로 이뤄진 누리호를 조립해 ‘완전체’로 만들기 위한 준비가 시작된 것이다. 누리호 4차 발사는 내년 하반기에 시행된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1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 연구·개발(R&D) 캠퍼스에서 누리호 4차 발사를 위한 ‘단 조립 착수 검토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단 조립이란 총 3단으로 이뤄진 누리호 동체를 장난감 블록을 결합하듯 끼워 맞추는 일이다. 지금은 각 단들이 따로따로 제작 중인데, 이를 한 데 모아 ‘완전체’로 만들기 위한 핵심 과정이다. 조립 절차가 시작되면 발사 준비도 본격화하는 셈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우주청과 항공우주연구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들은 발사체 구성품과 장비 입고 현황 등을 파악한 뒤 품질 보증과 안전관리 계획을 점검했다.

항공우주연구원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다음달부터 단 조립에 들어갈 예정이다. 누리호 4차 발사는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내년 하반기에 시행될 계획이다.

누리호는 지구 상공 수백㎞에 인공위성을 올려놓기 위해 한국 기술로 개발한 발사체다. 높이가 아파트 16층 수준인 47m에 달한다. 2021년 10월 1차 발사됐으며, 당시에는 탑재한 위성 모사체를 예정된 궤도에 올리는 데 실패했다.

2022년 6월 2차 발사 때에는 예정대로 비행하며 ‘발사 성공 도장’을 찍었다. 지난해 5월 3차 발사도 성공했다. 누리호는 기술 안정화를 위해 2027년까지 총 6번 발사될 예정이다.

4번째 발사되는 누리호에 실릴 ‘차세대 중형위성 3호’도 본체 조립과 기능 시험 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우주청은 밝혔다. 차세대 중형위성 3호는 우주과학 연구를 목적으로 한 인공위성이다. 박재성 우주청 우주수송부문장은 “향후 품질, 안전, 일정 등을 철저히 관리해 4차 발사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