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주식시장으로 몰려드는 중국 ‘2030’ 개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주식시장으로 몰려드는 중국 ‘2030’ 개미

국경절 연휴에 청년층 투자 열풍 확산

유명 주식 블로거 팔로워 수도 크게 늘어

중국 주식시장/EPA자료이미지

중국 주식시장/EPA자료이미지

중국 정부의 부양책 발표 이후 증시 강세장이 이어지면서 20·30대 젊은 투자자들이 증시로 몰리고 있다. 은행에 빚을 내 투자하는 행태에 대한 경고도 나오고 있다.

11일 중국 매체 증권시보에 따르면 지난 9월 23일부터 9월 30일까지 인기 증권거래 플랫폼인 샹차이증권에 계좌를 개설한 신규 투자자 가운데 2000년대생이 27%, 1990년대생이 23%를 차지했다. 신규 등록 계좌의 절반이 1990년대 이후 출생자들이 개설한 것이다.

지난 1~7일 국경절 연휴를 거치면서 청년층 사이의 투자 열풍은 더욱더 뜨겁게 확산했다. 국경절 연휴 직전 16% 급등한 중국 주식시장이 화제가 되자 방학을 맞은 학생들은 온라인에 개설된 투자 강의를 들으며 소셜미디어(SNS)에서 주식시장에 관심을 보였다. ‘상하이 삼촌’ 등 위챗에서 활동하는 유명 주식 블로거 팔로워 수도 크게 늘었다.

중국 정부가 부양책을 발표하자 주식시장이 코로나19 이후 오랜 침체를 벗어날 기회가 보이자 ‘이 기회를 놓치면 안 된다’는 심리가 퍼지고 있다.

경제 채널 홍성자본국이 소개한 사례에 따르면 18세의 대학생 왕 모씨는 “주식투자는 이번이 처음이다. 여름방학 때 아르바이트해서 번 5000위안(약 95만원)을 모두 주식에 넣었다”고 말했다. 그는 “주식거래는 위험도 크지만 수익도 높다. 나는 돈을 잃을 준비도 돼 있다”며 “아쉬운 점은 늦게 계좌를 열어 열풍에 제대로 올라타지 못한 점”이라고 말했다.

빚을 내 투자하는 행태에 대한 경고도 나오고 있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광둥성 롱촨농촌상업은행, 푸젠성 송시농촌신용조합 등 광둥·산둥·푸젠성 등의 여러 지역 금융기관들이 10일 ‘대출 자금을 사용해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해서는 안 된다’라고 경고했다.

주택 리모델링이나 교육비 명목으로 3% 이내의 저리 대출을 받아 주식시장에 쏟아부으려는 조짐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차이신은 중국 당국이 불법 주식투자 자금 유입을 엄격히 감독하겠다며 시중은행에 경고했다고 차이신은 전했다.

중국 증시는 최근 며칠 동안은 정부 부양책 내용에 따라 하루하루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8일 중국 정부의 부양책 발표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증시는 8% 내렸다. 이튿날 중국 정부는 자본시장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 5000억위안(약 95조원) 규모의 적격 증권, 펀드, 보험회사 스와프 플랫폼을 설립한다고 발표했고 이날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주춤하던 증시는 11일 큰 폭으로 하락해 상하이지수는 한때 장중 7%까지 폭락했다.

중국 재정부는 오는 12일 추가 부양책을 발표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