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윤·한 독대 의제 된 ‘김건희 라인’, 국민눈높이로 쇄신하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윤·한 독대 의제 된 ‘김건희 라인’, 국민눈높이로 쇄신하라

입력 2024.10.14 18:15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내주 초 단독 회동한다. 핵심 의제는 말할 것 없이 김건희 여사 문제가 될 것이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 해법을 내놓을 수 있는지가 최대 관심사가 됐다는 뜻이다.

한 대표는 14일 대통령실 내 이른바 ‘김건희 라인’ 정리를 거듭 요구했다. 그는 “(김 여사는) 공적 지위가 있는 사람이 아니지 않나. 그런 라인은 존재하면 안 된다”고 했다. 여당 내 친한계는 ‘박근혜 탄핵’ 사례까지 거론하며 대통령실을 압박했다. 신지호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은 “과거 최서원씨 경우에는 무슨 직책 없이 비선에서 역할 했다 해서 문제가 된 경우”라고 했고, 박정훈 의원은 “김무성·유승민은 (박 전 대통령) 탄핵하고 다 나갔다. 지금은 굉장히 부드럽게 국민 요구를 전달하고 있다”고 했다. 여권에서는 대통령실의 ‘김건희 인사 7인’을 거명한 문자가 돌고, 공기관 내 ‘김건희 라인’ 소문도 이어지고 있다.

한 대표 측이 발언 수위를 높이는 건 김 여사 문제가 10·16 재·보선 최대 악재인 점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김 여사 문제를 둘러싼 민심의 분노가 임계치를 넘어섰다는 방증이다. 검찰의 명품백 수수 무혐의 처분에 이어 정치브로커 명태균씨 폭로까지 터지면서 김 여사 의혹과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중이다. 명씨는 이날도 라디오에 나와 “(윤 대통령과 김 여사가) 인수위원회에 와서 사람들 면접 봐달라고 했다”고 했다. 또 “경기교육감 임태희, 그 사람 이력서 누가 본 줄 아냐. 저다”라고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대선 후보 경선 때 명씨가 운영하는 PNR에서 윤 후보 측에 붙어 여론조작 하는 걸 알고 있었지만 문제 삼지 않았다”고 했다.

대통령 부인 의혹이 꼬리 무는데도 대통령실 대응은 안이하기 짝이 없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뭐가 잘못된 것이 있어서 인적 쇄신인가. 여사 라인이 어딨는가”라며 한 대표의 요구를 일축했다. 만약 윤 대통령의 생각도 이와 같다면 윤·한 회동은 김 여사 문제의 해법을 찾는 자리가 아니라 둘 관계의 파국을 공식화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윤 대통령이 제2부속실 설치, 김 여사 사과, 특별감찰관 임명을 수용할 수 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온다. 그러나 이 정도로 김 여사 문제를 어물쩍 넘길 수 있다고 여긴다면 오산이다. 지금 다수 여론이 요구하는 건 김 여사 특검과 합당한 법적 처분, 윤 대통령의 입장 표명과 사과, 재발 방지책 마련이다. 한 대표는 화난 민심을 단호하게 전하고, 윤·한 회동은 결단·담판 지어 국민에게 답을 내놓는 자리가 돼야 한다. 이번 회동이 김 여사 문제를 능동적으로 풀 마지막 기회가 될 수 있음을 두 사람은 명심해야 한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