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노벨경제학상에 ‘부국과 빈국 차이 설명’ 미 교수 3인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노벨경제학상에 ‘부국과 빈국 차이 설명’ 미 교수 3인

노벨경제학상에 ‘부국과 빈국 차이 설명’ 미 교수 3인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국가 간 부의 차이를 연구한 다론 아제모을루·사이먼 존슨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교수, 제임스 A 로빈슨 미국 시카고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세 교수를 올해 경제학상 수상자로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세 교수는 왜 어떤 국가는 부유하고 어떤 국가는 가난한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다”며 “국가 간 소득 차이를 줄이는 것은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인데, 수상자들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했다”는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아제모을루와 로빈슨 교수는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라는 저서에서 국가 간 번영의 격차를 만들어내는 제도에 대해 탐구한다. 두 교수는 남한이 번영하고 북한이 빈곤한 것은 제도의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남한은 사유재산이 보장되고 법치주의가 적용되며 자유로운 직업 선택이 보장되는 ‘포용적 경제제도’를 택한 결과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북한은 소수가 더 큰 이익을 챙기는 ‘착취적 경제제도’를 도입했고 빈곤해졌다는 것이다.

아제모을루와 존슨 교수는 ‘기술 발전이 곧 진보’라는 통념에 반박하는 저서 <권력과 진보>를 펴냈다. 두 교수는 기술 그 자체는 인류의 삶에 번영을 가져다 주지 않으며, 권력을 빼놓고는 인류의 진보를 설명할 수 없다고 본다. 일례로 중세에는 농업기술이, 산업혁명 초기에는 산업기술이 각각 발전했지만, 농민과 노동자의 생활수준은 나아지지 않았다. 노동자들은 정치권력을 강화하고서야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었다.

두 교수는 인공지능(AI) 회의론자이기도 하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테크 분야의 많은 리더들이 주장하는 것과 달리,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자신이 약속한 성취의 대부분을 달성하지 못하면서도 노동자 수요는 줄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두 교수는 한국 정치권에서도 이슈가 된 보편적 기본소득론을 ‘패배주의’라고 비판한다. AI 기술이 발전하면 시민들이 무기력하게 일자리와 소득을 잃으리라고 전제하기 때문이다. 두 교수는 시민과 노동자들이 권력을 확장해 더 많은 시민이 사회안전망을 누릴 수 있고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기술 발전의 방향을 돌리자고 제안한다.

노벨 물리학상과 경제학상이 AI 회의론자들에게 돌아간 것도 이번 수상의 관전 포인트다. 앞서 노벨위원회는 지난 8일(현지시간)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머신러닝 기초 확립에 기여한 존 홉필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학 명예교수를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AI 전문가인 힌턴 교수는 노벨상 수상 소감에서 “(AI가) 통제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는 위협에 대해 우려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지난 9일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에 오른 AI 전문가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도 “AI는 이로운 일을 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해를 끼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고 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