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한강 작가 ‘노벨상 수상’ 후 공개된 첫 글은 외할머니에 관한 기억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한강 작가 ‘노벨상 수상’ 후 공개된 첫 글은 외할머니에 관한 기억

한강 작가. 문학동네

한강 작가. 문학동네

한강 작가가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메일 구독 형식의 무크지 ‘보풀’ 3호가 15일 밤 발행됐다. 한 작가는 이번 호에 외할머니와의 기억을 담은 글 ‘깃털’을 실었다. 사실상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공개된 첫 글인 셈이다.

한 작가는 무크지에서 ‘보풀 사전’이라는 코너를 연재 중이다. 이번 호의 주제는 ‘새’로 한 작가는 ‘깃털’이라는 단어에 대해 썼다. “…늦게 얻은 막내딸의 둘째 아이인 나에게, 외할머니는 처음부터 흰 새의 깃털 같은 머리칼을 가진 분이었다//그 깃털 같은 머리칼을 동그랗게 틀어올려 은비녀를 꽂은 사람. 반들반들한 주목 지팡이를 짚고 굽은 허리로 천천히 걷는 사람…유난히 흰 깃털을 가진 새를 볼 때, 스위치를 켠 것같이 심장 속 어둑한 방에 불이 들어올 때가 있다.”

‘보풀’은 한 작가를 비롯해 이햇빛 음악가, 전명은 사진작가, 최희승 전시기획자 등 4명의 ‘보푸라기’ 동인이 모여 만드는 무크지다. 작가들의 글 외에도 글과 연계된 사진, 미술 작품, 소리, 음악 등을 감상할 수 있다. 보풀 사회관계망서비스에는 “보푸라기 동인 한강은 소설을 쓴다. 가볍고 부드러운 것들에 이끌려 작은 잡지 ‘보풀’을 상상하게 됐다”는 한 작가 소개글이 게시돼 있다.

지난 8월 발행된 첫 호에서 한 작가는 ‘보풀’이라는 단어에 대해 쓰면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보풀의 모습은 팔꿈치 언저리에 마치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작은 동그라미다. 보이지 않을 만큼 가느다란 오라기로 이어져 마치 분리된 것처럼 보이지만 연결되어 있다. 후, 불면 흔들리지만 결코 떨어져 나가지 않는다.//그런 것들의 목록을 이곳에 모아보려고 한다”라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