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검찰 “김 여사, 녹취록 보여주자 ‘내가 이런 대화를 했어요?’ 진술”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검찰 “김 여사, 녹취록 보여주자 ‘내가 이런 대화를 했어요?’ 진술”

조상원 서울중앙지검 4차장(오른쪽)과 최재훈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장이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서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시세조종 가담 의혹 수사결과를 발표한 후 기자들로부터 질의 응답을 받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김창길기자

조상원 서울중앙지검 4차장(오른쪽)과 최재훈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장이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서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시세조종 가담 의혹 수사결과를 발표한 후 기자들로부터 질의 응답을 받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김창길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을 수사한 검찰이 김 여사가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에게서 통정매매(서로 짜고 매매하는 행위)를 요청하는 연락을 받았는지에 대해 “김 여사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진술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 같은 진술 등을 토대로 김 여사를 불기소 처분했다.

최재훈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장은 17일 김 여사가 권 전 회장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는지 확인했느냐고 묻는 취재진 질문에 “(김 여사의) 정확한 진술은 ‘기억이 안 난다’는 것”이라며 “(연락을 받았다는 것과) 완전히 배치되는 건 아닐 수도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 김 여사에게 불기소 처분을 내리면서 김 여사가 주가조작에 가담했다고 볼 확실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김 여사가 2010년 10월28일과 11월1일 본인 명의의 대신증권 계좌에서 직접 두 건의 매도 주문을 한 것에 대해서는 “권 전 회장으로부터 어떤 식으로든 연락을 받고 증권사 직원을 통해 주문을 제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법원은 해당 매도 주문을 포함해 이 계좌에서 발생한 총 12건의 통정매매가 시세조종에 해당한다며 이에 관여한 권 전 회장에게 항소심에서도 유죄 판결을 내렸다.

검찰에 따르면 2차 주가조작 당시 ‘주포(실행역할)’였던 김모씨는 주식 수급을 위해 권 전 회장에게 저가에 주식 물량을 달라고 요청했고, 이후 김 여사의 매도 주식을 사들였다. 검찰은 권 전 회장이 김씨에게서 연락을 받고 다시 김 여사에게 ‘주식을 팔라’고 시켜서 김 여사가 매도 주문을 넣은 것으로 의심하지만 이를 입증할 증거가 없다고 봤다.

최 부장검사는 “(김 여사에게) 녹취록을 보여줘도 ‘내가 이런 대화를 했어요?’, ‘권오수와 통정매매한 기억이 없다’등으로 진술했다”며 “10년 전 기억의 한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