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도입 없이 모수개혁만 진행하면 젊은 세대가 받는 총 연금액 늘어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도입 없이 모수개혁만 진행하면 젊은 세대가 받는 총 연금액 늘어

정부가 지난 9월 제시한 연금개혁안대로 모수개혁 시에 젊은 세대가 받게 될 총연금액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합뉴스

정부가 지난 9월 제시한 연금개혁안대로 모수개혁 시에 젊은 세대가 받게 될 총연금액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합뉴스

정부가 지난 9월 제시한 국민연금 개혁안대로 국민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각각 13%, 42%로 조정할 경우에는 젊은 세대가 받게 될 총연금액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크게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정부가 도입을 추진 중인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해 연금액을 조정할 경우, 전 세대에서 연금액이 삭감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42%(2028년 40% 예정)로 조정할 경우에 2005년생(20세)이 받게 될 총 연금액은 2억8492만원에서 2억9861만원으로 4.8% 증가했다.

1995년생(30세)의 총 연금액은 2억9247만원에서 3억260만원(증가율 3.5%)으로, 1985년생(40세)은 3억1371만원에서 3억2029만원(증가율 2.1%)까지 늘어났다. 1975년생(50세)은 3억5637만원에서 3억5939만원(증가율 0.7%)으로 늘어났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만 조정하는 ‘모수개혁’만 실시할 경우에는 젊은층이 받는 총연금액 증가율이 다른 세대에 비해 더 커지는 결과가 나왔다.

모수개혁 이후 자동조정장치 적용 전후 연금총액 삭감 규모. 전진숙 의원실 제공

모수개혁 이후 자동조정장치 적용 전후 연금총액 삭감 규모. 전진숙 의원실 제공

반면 정부가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할 경우 전 세대에서 총연금액이 비슷한 비율로 삭감되는 것으로 계산됐다. 자동조정장치가 2036년부터 도입되면 20세의 총연금액은 2억9861만원에서 2억5339만원으로 15.1%가 삭감된다. 30,40,50세는 모두 16.3%씩 줄어든다.

이는 정부가 설명한 것보다 높은 삭감률이다. 앞서 정부는 자동조정장치를 도입 시에 20세 11.1%, 30세 13.4%, 40세 14.6%, 50세 15.6%로 연금 삭감률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전진숙 의원은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되면 전 세대에 걸쳐 총연금액이 15∼16% 삭감될 것”이라며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자동삭감장치’ 도입 계획은 철회돼야 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