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시대적 한계 뛰어넘는 혁명적 가르침”…천도교 창시자 ‘수운 최제우 대신사’ 출세 200년 기념식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시대적 한계 뛰어넘는 혁명적 가르침”…천도교 창시자 ‘수운 최제우 대신사’ 출세 200년 기념식

“시대적 한계 뛰어넘는 혁명적 가르침”…천도교 창시자 ‘수운 최제우 대신사’ 출세 200년 기념식

천도교중앙총부는 동학 천도교 창시자인 최제우(1824∼1864·사진) 탄생 200주년을 기리는 ‘수운 최제우 대신사 출세 200년 기념식’을 28일 서울 종로구 천도교중앙대교당에서 열었다.

최제우는 1824년 10월28일 태어났다. 이는 음력 날짜이지만 천도교 양력으로 같은 날을 대신사 출세일로 삼아 기념하고 있다.

윤석산 천도교 교령은 기념사에서 “천도교 교리의 핵심인 ‘시천주’(侍天主)는 임금에서부터 최하층의 사람들까지 모두 한울님을 모신 동등한 존재라는 본질적인 평등주의를 담고 있다”며 “당시 봉건사회에서는 반역이지만, 그 시대적 한계를 뛰어넘는 대단한 혁명적인 가르침이며 천당에 간다거나 지옥으로 떨어진다거나 하는 그러한 개인적인 소망이나 욕망을 이루려는 가르침이 아니다”라고 했다.

28일 서울 종로구 천도교 대교당에서 열린 수운 최제우 대신사 출세 200년 기념식에서 윤석산 교령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서울 종로구 천도교 대교당에서 열린 수운 최제우 대신사 출세 200년 기념식에서 윤석산 교령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제우는 1860년 유교·불교·선교 등의 교리를 종합해 민족 고유의 신앙인 동학을 창시했다.

‘인내천’(人乃天, 사람이 곧 하늘)을 근본사상으로 한 동학은 이후 천도교로 발전했다. 교세가 확장되자 조정은 1863년 최제우를 체포했고, 이듬해 그를 처형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