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세대와 연금개혁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청년을 위한 연금개혁’이란 플래카드를 보았다. 윤석열 대통령도 ‘세대 간 연대’가 아닌 ‘세대 간 공평성’을 연금개혁 원칙으로 제시했고, 여당도 ‘청년을 위한’ 구조개혁을 하겠다고 한다. 청년을 위한다는데 누가 뭐라 하겠는가만은 찜찜함을 지울 수 없다.

그 이유는 첫째, 청년세대에게 현재 큰 고통을 야기하고 있는 일자리 불안정성과 취약한 노동권 문제를 그대로 시장에 맡겨놓은 채, 유독 미래 공적연금을 축소해 청년을 위하겠다는 게 위험해 보여서다. 20대 노동자 중 40% 이상이 비정규직이라 한다. 우리 사회는 청년에게 제대로 된 직업세계 정착의 기회와 꿈을 펼칠 기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청년세대의 연금보험료 부담을 논하기 전에 이를 낼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말하는 게 먼저다. 괜찮은 일자리 확대 등 노동권 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하지 않으면서, 보험료 부담과 공적연금 보장도 같이 줄이는 건 결국 미래의 노동도, 삶도 파괴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둘째, 연금의 세대 간 불공평성은 바로 지금 진행되고 있는 국민연금 삭감에서 크게 비롯되는데, 청년세대 국민연금 하락 문제를 거론하지 않으면서 세대 간 불공평성 문제를 말하는 건 의아하다. 2007년 연금개혁 이래 연금보험료를 낼 때 미래 보장받는 연금액은 매년 떨어지고 있다. 이런 연금 삭감의 영향은 후세대일수록 더 크다. 2040년, 2050년에 새로 국민연금을 받는 이들은 더 오래 연금보험료를 내도 연금액이 제대로 올라가지 않는다. 직접적 해법은 2007년 60%에서 이미 상당히 떨어진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어느 정도 회복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오히려 정부는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해 미래 연금액을 추가로 더 삭감할 것을 제안했다. 세대 간 공평성을 말하면서 미래세대의 노후보장을 더 약화시키자는 것이다. 정부는 보험료 인상 속도를 출생연도에 따라 달리해 세대 간 공평성을 실현하겠다고 했지만, 그 복잡함에 비해 보험료율 차등인상 조치로 청년세대가 누리는 편익은 그 시기도, 규모도 매우 제한적이다.

셋째,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미래 연금재정 구조는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음에도, 지금처럼 노동소득의 극히 일부만으로 연금재정을 충당한다고 가정한 채 미래세대 부담을 말하는 건 이상하다. 여러 나라에서 자본과 노동은 연금재정을 1:1로 부담하지 않는다. 자본이 더 많이 부담한다. 기술혁신과 노동의 역할 변화로 이미 노동소득에서 자본소득, 부가가치세 등으로 연금재정 기반은 넓어지고 있다. 또한 ‘청년은 생산하며, 노인은 소비한다’는 역할 경계도 무너지고 있다. 한국 연금재정에서도 노동과 자본의 분담, 계층 간 분담 구조 변화는 불가피하다. 미래세대의 경제규모, 부의 원천, 생산방식, 노동소득 분배 등에 따라 연금재정 틀이 달라져야 국민연금은 지속 가능하다. 앞으로 계속 노동소득 일부에만 연금보험료를 부과한다고 하는 게 오히려 비현실적이다. 연금재정에선 세대에 앞서 자본과 노동, 부자와 빈자 간 책임분담이 더 중요하다.

청년세대의 노동과 삶의 불안정성을 우려한다면 강력한 소득재분배 효과를 가진 국민연금이 갖는 가치는 더 크다. 평등효과도 없고 종신보장도 안 되는 사연금으론 어렵다. 소위 세대 간 공평성을 위해 국민연금을 축소시키는 정책은 청년이 공적연금을 사회보장이 아닌 저축으로 바라보게 만들고, 국민연금 폐지론 같은 극단적 견해를 더욱 지지하게 만들 수 있다. 지난봄 숙의를 거친 시민공론조사에서 전체 시민은 물론 20대도 국민연금 보장성 강화론을 더 많이 지지한 바 있다. 공동체의 노후보장이 갖는 가치를 도외시하고, 노동과 자본 및 빈자와 부자 간 적절한 연금재정 분담으로의 변화를 꾀하지 않은 채, 기성세대가 연금정치에서 청년세대를 이기적인 세대로 몰아가는 건 아닌지, 오히려 이들의 선호를 호도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의구심이 생긴다.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Today`s HOT
스페인 왕실의 이탈리아 방문 철권정치의 끝, 본국으로 돌아가는 시리아 난민들 영국 정부의 토지 상속세 규정에 반대하는 농부들 자원봉사단 후원자 카밀라 여왕이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모임
스웨덴에서 열린 노벨 시상식에 참석한 한강 작가 2034년 월드컵 개최 장소 사우디아라비아, 전시회를 열다.
말리부 화재를 진압하는 헬리콥터와 소방대원들 과달루페 성모 축일 축제를 준비하는 순례자들
성차별 반대의 목소리, 거리로 나온 케냐 활동가들 시리아의 정권 붕괴 이후 이스라엘의 계속되는 공습 인도 원주민 문화의 전통이 보이는 혼빌 페스티벌 아티스트들이 선보인 SF 테마 디스플레이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