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귀리·늙은 호박·고춧잎…세계자연기금이 꼽은 ‘K-퓨처푸드’에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귀리·늙은 호박·고춧잎…세계자연기금이 꼽은 ‘K-퓨처푸드’에

환경적 영향과 영양적 가치 등 고려해 52개 식재료 선정

귀리·파래·고춧잎 등은 영양이 높을 뿐 아니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적은 먹거리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세계자연기금(WWF)은 국내 식재료의 환경적 영향과 소비 현황, 영양적 가치를 고려해 선정한 52개의 지속 가능한 식물성 식재료를 담은 ‘K-퓨처푸드(한국의 지속 가능한 먹거리)’ 보고서를 31일 공개했다.

WWF는 서울대 산학협력단, 이마트 등과 함께 식재료별 생산·소비 데이터와 온실가스 배출량, 토지 이용량, 물 사용량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 관련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생물다양성, 영양 밀도, 한국인의 식문화 수용성, 가격 적정성 등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52개의 식재료를 선정했다. WWF는 이 식재료들이 한국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식단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평가했다.

곡류인 귀리와 수수는 식이섬유와 단백질이 풍부해 영양 균형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됐다. 또 콩류인 대두는 육류를 대신할 수 있는 고단백 식품으로 분석됐다.

브로콜리와 늙은 호박은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물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어 환경 부담이 적은 식품으로 꼽혔다.

WWF는 파래·톳·미역 등 해조류에 대해서는 수중 환경 정화에 기여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을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흡수 효과도 뛰어나 기후변화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했다.

식품의 영양소별 1일 권장량을 백분율로 환산한 결과 영양 순위가 높은 식재료 5가지로는 시금치·고춧잎·귀리·들깻잎·무청이 꼽혔다. 특히 부산물로 여겨져 잘 먹지 않는 고춧잎은 52개 식재료 중 미역을 제외하면 칼슘 함량이 가장 높은 천연 칼슘제라는 평가를 받았다.

식량은 일상과 건강을 지탱하는 필수 요소지만 생산 과정에서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WWF는 설명했다. 식량이 생산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7%를 차지한다. 또 식량 생산을 위해 사용하는 담수의 양은 인류가 사용하는 전체 담수의 약 70%에 달한다. 식량 생산을 위한 동식물 서식지 파괴는 생물다양성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도 꼽힌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