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너럭바위와 한 몸 되어 살아온 1100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너럭바위와 한 몸 되어 살아온 1100년

괴산 공림사 느티나무

괴산 공림사 느티나무

충북 괴산 청천면 낙영산 자락에 터잡은 천년 고찰 공림사에는 ‘천년 느티나무’로 불리는 큰 나무가 있다. 1100년 전인 신라 시대에 경문왕의 지시로 절집을 지은 자정 스님이 심은 나무라고 한다. 전하는 이야기대로라면 느티나무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됐다.

나무는 높이 12m, 줄기둘레 8m이며, 나뭇가지는 동서로 11.6m, 남북으로 14m까지 펼쳤다. 이 정도 규모라면 비슷한 기후에서 자라는 여느 느티나무와 견주었을 때 1000년 넘은 나무로 보기에 무리가 있는 건 사실이다. 나무를 심어 키운 기록이 남지 않아 나무나이를 비롯한 나무를 키워온 내력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럼에도 ‘천년 느티나무’와 절집의 전각들이 어우러지며 뿜어내는 풍광만큼은 더 없이 절묘하다. 특히 나무 앞으로 이어지는 너른 마당 가장자리에 숲을 이룬 여러 그루의 느티나무를 거느리는 듯한 기품으로 늠연히 서 있는 오래된 느티나무 풍경은 가히 장관이라 할 수 있다.

종무소와 요사채 사잇길 언덕의 너럭바위 곁에 서 있는 ‘천년 느티나무’는 뿌리가 바위 아래쪽을 뚫고 퍼져나갈 정도로 바위와 바짝 붙어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나무줄기의 아랫부분은 바위 반대편으로 난 길 쪽으로 밀려났고, 1m 높이 부분에서부터는 바위를 감싸고 휘어돌며 자랐다. 나무의 생육에는 유리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거대한 너럭바위를 등에 진 채 바위와 한 몸을 이룬 나무의 생김새가 오히려 생명의 경이로움을 자아낸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나무는 우리나라의 오래된 큰 나무들에 흔히 전하는 이야기처럼 나라에 큰일이 있을 때마다 특별한 울음소리를 내서 사람들로 하여금 비상사태에 대비하도록 알렸다고 한다. 일제 침략자들이 물러가던 1945년과 한국전쟁이 일어난 1950년이 그 대표적인 사례라고 한다.

1000년을 살아가는 경이로운 생명 앞에서 과학의 잣대는 내려놓고 오래된 절집의 상징으로 살아온 나무가 보내는 천 번의 가을에 갈채를 보내야 할 시간이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