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올해 실시한 홍수특보 지점 대폭 확대와 인공지능(AI) 홍수예보 등을 통해 예년보다 5배 많은 홍수특보가 발령됐다고 5일 밝혔다.
환경부는 올해 홍수특보 지점을 기존 75개에서 223개로 늘리고, AI 홍수예보를 도입한 효과로 홍수특보 발령 건수가 최근 10년 평균 34건에서 올해 170건으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지방하천의 경우 특보 건수가 9건에서 102건으로 11배 넘게 증가했다. 환경부는 이를 통해 홍수에 취약한 지방하천에서 범람에 대비하기 위한 대피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환경부는 또 전국의 673개 하천 수위관측소에서 1분 주기로 관측한 홍수정보를 관계기관에 총 2495건 전파했으며, 지자체 부단체장과 담당자 등에게 총 8651건의 음성메시지를 전파했다고 밝혔다. 부단체장과 담당자에게 음성메시지로 홍수특보·정보를 전달하는 체계는 올해 처음 도입됐다.
홍수특보 관련 안전안내문자(CBS)는 총 170건 발송됐고,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홍수경보 발령 정보와 댐 방류 정보 안내 등은 모두 105건 이뤄졌다. 서울 도림천과 광주 황룡강, 경북 포항 냉천, 경남 창원 창원천을 대상으로 이뤄진 도시침수예보는 56건이 지자체에 전파됐다.
환경부는 이를 통해 7~9월 사이 집중호우가 내린 충남 금산과 충북 옥천(7월10일), 경기 오산과 이천(7월18일), 경남 김해(9월21일) 등에서 하천수위가 홍수위를 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지만 사전에 지자체가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올해 말까지 258개 지방하천에 수위관측소를 설치하고, 내년부터는 실시간 하천수위 등 홍수정보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