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률 올 26%, 매년 감소세
교육부 “현장실습 사고 원인”
학교 “위험 적은 사업장 부족”
올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반 등 직업계고를 졸업한 학생들은 4명 중 1명만 취업을 하고, 절반 가까이는 대학 진학을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6일 발표한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에 따르면 올해 직업계고 졸업자 6만3005명 중 취업자는 1만6588명이었다. 전체 졸업자 중 취업자 비중은 26.3%로 2022년 29.6%를 기록한 뒤 계속 하락하고 있다. 진학자, 입대자 등을 빼고 계산한 취업률도 55.3%로 2022년(57.8%)보다 낮아졌다. 특히 서울(50.4%)·경기(51.9%)·인천(49.9%) 등 수도권 지역 직업계고 졸업생의 취업률이 평균보다 낮았다.
반면 직업계고 졸업생의 진학률은 올해 48%로 크게 증가했다. 올해 졸업자 5명 중 1명(21.3%)은 취업을 하지 않아 지난해(21.7%)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교육부는 직업계고 졸업생의 취업자 비중은 줄었지만 취업한 사업장의 질은 좋아졌다고 설명했다. 졸업생들이 취업한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300인 이상 사업장 취업률은 2020년 23.4%에서 2024년 34.5%로 증가했다. 다만 여전히 10명 중 3명(30.9%)은 30인 미만 사업장에 취업했다. 교육부는 직업계고 운영 취지와 달리 대학 진학자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 ‘현장실습 사고’가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장실습 사고 이후 현장실습을 꺼리고, 실습 참여가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있다”고 말했다. 학력을 중시하는 문화, 자녀 수 감소에 따라 진학을 희망하는 부모가 늘어난 점 등도 직업계고 학생이 진학하는 이유로 꼽혔다.
산업 생태계 변화로 양질의 일자리를 찾기 위해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학생들이 늘었다는 분석도 있다. 일부 대학은 직업계고 학생 유치에 적극적이다.
서울의 한 직업계고 교감은 “현장실습 사고도 결국 열악한 취업 현장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며 “사고 때문에 학생들이 취업을 하지 않는다기보다는, 사고 위험이 적은 사업장이 부족해서 꺼리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