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트럼프 정책 기조 현실화 땐 경제에 상당한 영향”

박상영 기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최상목 부총리 주재,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최상목 부총리 주재,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강조해 온 정책 기조가 현실화할 경우 경제에 미칠 영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정부는 ‘경제관계장관회의’를 범정부 컨트롤타워로 정해 선제적이고 빈틈없이 대응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금융·외환시장, 통상, 산업 등 외부로부터 영향이 큰 3대 분야는 각각 별도 회의체를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외환시장 분야는 거시경제금융회의, 통상분야는 글로벌 통상전략회의, 산업 분야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논의하기로 했다.

최 부총리는 “국내외 금융·외환시장과 관련해 변동성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미국 새 정부·의회 구성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각별한 긴장감을 가지고 예의주시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8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그는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통상환경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글로벌 통상전략회의 등을 통해 기민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어 “업계의 목소리를 들으며 대응전략을 구체화하고,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했다.

최 부총리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 특성상 (트럼프 당선인의) 공약 구체화 과정에서 국내 산업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11월 중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가동하겠다”고 했다. 그는 “후발국 추격 가속화, 첨단기술 경쟁 심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최근 글로벌 산업·통상환경 변화에 발맞춰 산업의 질적 도약과 고부가가치화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기업이 사업 모델 전환을 추진하면 정부는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최 부총리는 “대외경제 여건에도 큰 변화가 예상되지만, 한미 양국은 굳건한 한미동맹 기조로 수십 년간 상호호혜적인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해왔다”며 “양국 간 경제협력 관계가 단단한 바위처럼 유지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했다.


Today`s HOT
가자-이스라엘 휴전 합의, 석방된 팔레스타인 사람들 인도 공화국의 날 인도 벵갈루루에서 열린 이색 축제 '코믹콘' 러시아의 베로니카 꺾고 8강 진출, 우크라이나의 엘리나
100주년 파트너십 맺은 영국-우크라이나의 회담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전 날 열린 승리 집회
고베 대지진 30주년 된 일본, 희생자들을 기억하다. 1월이 가장 더운 파라과이, 개울에서 더위 식히는 사람들
사람들의 인기를 끄는 상하이 EH216-S 헬리콥터 프랑스의 해안선 후퇴를 막는 산림청과 어린이들의 노력 애들레이드 사이클링에 참가한 선수들과 우승한 다니엘 헨겔드 주현절을 맞이한 리투아니아의 풍경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