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예부터 의롭고 충직했던 개…‘개만도 못한 사람들’은 반성하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예부터 의롭고 충직했던 개…‘개만도 못한 사람들’은 반성하라

때로는 개가 사람보다 낫다- 이종묵 지음 돌베개 | 280쪽 | 1만8500원

조선 시대에는 궁궐에서도 개를 길렀다. 사진은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가 자신의 애완견을 그린 것으로 보이는 그림.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조선 시대에는 궁궐에서도 개를 길렀다. 사진은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가 자신의 애완견을 그린 것으로 보이는 그림.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60대 부부가 키운 삽살개 복순이는 마을에서 ‘충견’으로 불렸다. 남편 견주가 뇌졸중으로 쓰러지자 크게 짖어 목숨을 구했기 때문이다. 복순이는 어느 날 주민에게 학대당해 코와 젖꼭지가 잘렸다. 부인 견주는 치료비가 비싸다며 복순이를 보신탕 식당에 넘겼다. 식당 주인은 복순이를 노끈으로 묶어 나무에 매달아 죽였다. 복순이 사건을 다룬 언론 기사에 ‘개만도 못한 사람들’이란 댓글들이 달렸다.

이종묵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의 <때로는 개가 사람보다 낫다>에는 조선시대 사람들이 개에 대해 쓴 글 31편이 담겼다. 개의 행동을 교훈 삼아 인간의 잘못을 꾸짖었다. 주인을 불길서 구하려다 죽은 의구(義狗), 주인이 죽자 묘 곁에서 따라 죽은 열구(烈狗), 주인이 병을 앓자 꿩을 잡아온 효구(孝狗)의 이야기가 실렸다.

조선시대에 집에서 기르는 소, 말, 돼지, 양, 닭, 개 여섯 짐승을 ‘육축(六畜)’이라고 했는데, 개를 가장 천하게 여겼다. 사람을 개에 비유하는 것은 가장 큰 모욕이었다. 옛사람들이 개에 대한 이야기를 기록한 이유는 옛날에도 ‘개만도 못한 사람’은 많았기 때문일 것이다.

[책과 삶]예부터 의롭고 충직했던 개…‘개만도 못한 사람들’은 반성하라

개가 짖는 소리에 대한 성찰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도둑이 침입하면 짖으라고 개를 키웠다. 현대 한국 사회에선 아파트에서 개를 키우는 가정이 많다. 일부 견주는 개가 못 짖도록 성대를 제거하기도 한다. 조선시대 문인 박종경은 ‘개를 용서하다’라는 글에서 “개가 짖는 것은 개의 본성”이라며 “제 본성을 따르는데 내가 죽인다면 동물의 본성을 완수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라고 적었다.

이종묵 교수는 머리말에 “지금의 사람이 개를 사랑만 할 것이 아니라 사람답지 못한 처신이 없는지 자신을 돌아보았으면 하는 생각도 든다”고 강조했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