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장캉밥캉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장캉밥캉

[임의진의 시골편지]장캉밥캉

지난달 만남이 있어 부산에 갔다가 해돋이 기억. 해돋이는 언제 봐도 장엄해. 요가에서도 ‘수리야 나마스카라’라고 하여 손을 올려 태양을 바라는 기본동작이 있다. ‘수리야’는 태양이라는 뜻이고 ‘나마스카라’는 맞이한다는 뜻. 부산에 살면 날마다 바닷가에 나가 바다구경을 하고 해구경을 할 텐데. 늘 지내는 벗들은 늦잠을 즐기고 ‘잠충이’란 별명들이 많아. 아까워서 어쩐대~ 내 사랑 아침 해.

일행이 물건을 놓고 온 식당에 가까스로 도착, “길을 못 찾아 늦었네요”. “이기 아이씨예 꺼예. 이적찌기 안 가고 기다릿네예. 이짜 골목은예, 이짜가 저짜 같고 저짜가 그짜 같지예(이쪽이 저쪽 같고 저쪽이 그쪽 같아요).”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이 좌르르 쏟아지는 시장통 먹자골목.

과거에 가난뱅이 살림을 가리켜 부산에선 ‘장캉밥캉’이라 했단다. 장꼬배이(장독대)에 장 있고 광에 쌀 있으면 목구멍 풀칠은 하고 살아는 지겠으나, 아침에 돋는 해는 얼굴만큼 큰데 입으로 들어가는 건 가뭇가뭇 별만큼 부실했던 인생들. 시방 부산 달동네는 재개발이 되고 아파트가 들어섰더라. 요새 유행하는 노래 ‘아파트 아파트~’, 구축 신축 아파트가 줄줄이 늘어선 세상에도 여전히 가난한 사람들은 별처럼 멀리 박혀서 동시대를 같이 살고 있다.

자영업이 줄줄이 무너지며 ‘임대’ 딱지가 붙여진 캄캄한 골목상권이 늘고 있더라. 그래도, 장캉밥캉 살림이다만 입만 열었다 하면 ‘온나(와라)’ 그런다. 온나~ 여기에 한술 더 떠 ‘퍼뜩 온나~’ 잽싸게 빨리 오라 그런다. 없는 살림에도 정으로 살고, 농가 묵자(나눠 먹자)고 말한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