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BLM은 안 됐는데 ‘트럼프 춤’은 된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BLM은 안 됐는데 ‘트럼프 춤’은 된다?

유세 중 처음 등장한 동작

NFL·UFC서 세리머니로

BLM은 안 됐는데 ‘트럼프 춤’은 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선거 유세에서 선보인 춤 동작(사진)이 미국 스포츠계 전반에서 재현됐다.

미국에서 뛰는 여러 종목 운동선수들이 주말 경기 중 트럼프 댄스를 세리머니로 활용했다. 스포츠에서의 정치적 메시지 표현에 있어 과거 흑인 인권 문제를 제기했을 때와는 온도가 확 달라졌다. CNN은 21일 “이 춤은 몇년 전 트럼프의 유세 중 처음 등장했다”면서 “트럼프는 흥겨운 노래에 맞춰 주먹을 펌핑하며 몸을 흔드는 동작으로 지지자들을 즐겁게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의 재선 직후 열린 경기에서 미국프로풋볼(NFL) 샌프란시스코 닉 보사가 탬파베이와의 경기에서 쿼터백을 쓰러뜨리고 나서 동료들과 함께 이 춤을 췄다. 보사는 “동료들이 내가 이 춤을 추길 원했다”고 말했다.

지난 주말 열린 UFC 309 대회에서도 트럼프가 참석한 가운데 헤비급 챔피언 존 존스가 경기 승리 후 트럼프 춤을 선보였다. 이후 존스는 링사이드에 있던 트럼프에게 다가가 악수하고 자신의 챔피언 벨트를 건넸다. 이어 열린 NFL 경기에서도 자다리우스 스미스(디트로이트 라이언스), 브록 바워스(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캘빈 리들리(테네시 타이탄스)가 터치다운 후 트럼프 춤을 선보였다. 바워스는 경기 후 “어제 UFC 경기를 보고 존 존스가 이 춤을 추는 걸 봤는데 정말 멋있어서 해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지난 19일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네이션스 리그 8강전에서 미국대표팀 크리스티안 풀리시치가 골을 넣은 뒤 이 춤으로 기쁨을 표현했다. 그는 경기 후 기자들에게 “이 춤은 정치적인 의미가 없다. 단지 재미로 했을 뿐”이라며 “NFL에서 많은 선수가 이 춤을 추는 걸 봤고, 재미있어 보여 따라 했다”고 설명했다.

CNN은 “운동선수들이 트럼프 춤을 세리머니로 사용하는 것은 과거와는 다른 정치적 흐름을 반영한다”며 “과거에는 콜린 캐퍼닉, 르브론 제임스 등 선수들이 정치적 발언을 했을 때 많은 비판을 받았으나, 이번에는 트럼프 춤이 스포츠계에서 큰 비난 없이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보수 칼럼니스트 스콧 제닝스는 CNN에서 “왜 안 되겠는가. 트럼프가 돌아오고, 미국도 돌아왔다”며 “이제 다시 공화당원이 되는 것이 멋진 일이 됐다”고 말했다. 폭스뉴스 기고자 제시카 탈로브는 “이제는 운동선수들이 정치적 발언을 하는 것이 환영받는 시대가 된 것 같다”며 “과거 ‘조용히 운동이나 하라’는 태도와는 분명히 다른 현상”이라고 밝혔다. 미국 사회의 분위기가 확실히 달라졌다는 게 스포츠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