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군 검찰, 박정훈 대령 징역 3년 구형…박 “대통령 격노 전화 후 엉망돼”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군 검찰, 박정훈 대령 징역 3년 구형…박 “대통령 격노 전화 후 엉망돼”

결심공판서 ‘이첩 보류’ 공방

군사법원, 내년 1월9일 선고

생일날 법원 나서는 박 대령 해병대 채 상병 순직사건 관련 항명 및 상관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자신의 생일인 21일 서울 용산구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결심공판을 마친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한수빈 기자 subinhann@kyunghyang.com

생일날 법원 나서는 박 대령 해병대 채 상병 순직사건 관련 항명 및 상관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자신의 생일인 21일 서울 용산구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결심공판을 마친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한수빈 기자 subinhann@kyunghyang.com

군 검찰이 21일 항명 등 혐의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징역 3년을 구형했다. 박 대령 측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채 상병 순직사건 조사결과의 민간 경찰 이첩을 보류하라고 명확히 지시하지 않았다며 항명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군 검찰은 이날 서울 용산구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박 대령의 항명 및 상관 명예훼손 혐의에 대한 결심공판에서 “징역 3년을 선고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다. 군 검사는 “군의 지휘체계와 군 기강에 큰 악영향을 끼쳐 엄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핵심 쟁점은 김 사령관이 박 대령에게 경찰로 사건 이첩을 보류하라는 명령을 했는지 여부다. 박 대령은 지난해 7월30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채 상병 순직사건 결과를 보고하고, 결재를 받았다. 이 전 장관은 7월31일 오전 김 사령관에게 이첩 보류를 지시했다. 김 사령관과 박 대령은 이후 수차례 회의를 했고, 박 대령은 8월2일 경북경찰청에 사건을 넘겼다.

군 검찰은 7월31일과 8월1일 사이 김 사령관이 박 대령에게 이첩 보류를 3차례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박 대령은 “(이첩 보류를) 김 사령관으로부터 지시받은 적이 없다”고 재차 밝혔다. 박 대령은 대신 그 기간 “(김 사령관과) 당시 국방부의 지시는 수사서류를 축소·왜곡하라는 불법적인 지시였기 때문에 그 지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했다”고 했다. 8월2일 김 사령관이 박 대령에게 전화로 이첩을 “멈춰라”라고 했을 때도 명령을 거부한 적은 없다고 했다. 박 대령 측은 “무죄를 선고해달라”고 요청했다.

박 대령은 최후변론에서 “(이 전 장관이) 대통령의 격노 전화를 받고 이 모든 일이 엉망이 됐다. 대통령실이 전방위로 개입했기 때문에 국방부와 해병대 사령부는 ‘꿀 먹은 벙어리’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너(채 상병)의 죽음에 억울함을 남기지 않도록 하겠다’는 약속이 지켜질 수 있도록 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하며 울먹였다.

선고는 내년 1월9일 이뤄진다. 이 전 장관·김 사령관·임기훈 전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 등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억울한 죽음의 진실을 제대로 밝히는 것이 어떻게 항명이고 상관에 대한 명예훼손이냐”고 비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