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끝났으니 이제 안경과 헤어져 볼까?

김태훈 기자

눈 상태 따라 시력교정수술 제각각

각막 얇으면 안내렌즈삽입술 선택

재수술 땐 나이·근시 정도 등 고려

수능 끝났으니 이제 안경과 헤어져 볼까?

수능을 마친 수험생을 중심으로 라식·라섹 등 시력교정수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가 왔다. 시력교정수술은 1990년대 초 본격적으로 도입된 이후 30여년간 어느 정도 안전성이 검증됐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초기에 수술받은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시력이 다시 떨어져 한 번 더 수술을 받아야 할지 고민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눈 상태에 따라 수술 가능 여부와 방식이 달라지므로 정밀한 검사가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시력교정수술로는 라식·라섹·스마일라식·안내렌즈삽입술 등이 있다. 라식과 라섹은 각막을 레이저로 깎아내 근시·난시·원시 등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수술이다. 각막이 비교적 얇거나 근시·난시 정도가 심해 라식·라섹을 받기 어려울 경우엔 안구 안에 렌즈를 넣는 안내렌즈삽입술로 시력을 교정할 수 있다. 이런 시력교정수술의 성공률은 높은 편이지만 노화가 진행되거나 근시가 더 심해지는 등의 이유로 점차 시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미 시력교정수술을 받았더라도 남아 있는 각막의 두께를 비롯한 눈 상태, 연령 등이 적합하면 라식이나 라섹 수술을 다시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잔여 각막이 충분하지 않거나 고도근시 때문에 각막을 많이 깎아냈을 땐 안내렌즈삽입술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라식·라섹 수술을 받은 이후 다시 안내렌즈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는 경우는 노화 또는 근시에 따른 시력 저하가 있을 때나, 각막이 수술 전처럼 자라나 두께가 회복되면서 시력이 떨어진 경우가 대표적이다. 단, 눈 안에 렌즈를 넣을 공간이 충분한지 사전에 정밀한 검사를 해야 하며, 45세 이상이라면 노안이 진행되기 시작하므로 수술하더라도 별도로 돋보기를 사용해야 할 수 있으니 종합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안내렌즈삽입술 이후 렌즈를 교체하거나 재수술을 받는 것도 가능하긴 하다. 일반적으로는 안내렌즈삽입술을 했다가 다시 렌즈를 제거하면 원래 눈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다만 렌즈가 수정체나 각막에 영향을 미쳐 백내장이 생기거나 각막내피세포가 손상되는 등 드물게 발생하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렌즈를 교체·제거하는 재수술을 받는 일은 많지 않다.

황규연 김안과병원 라식센터 전문의는 “국내에선 19~20세에 수술을 많이 하다 보니 수술 후 더 성장하면서 근시가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며 “재수술을 고려할 때는 다각적인 정밀 검사를 통해 시력이 떨어진 원인을 먼저 파악한 후 나이와 근시 정도, 잔여 각막량에 따라 개인에게 적합한 재수술 방법을 모색해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Today`s HOT
캐나다 콘월에서 이루어지는 군사 훈련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 자포리자의 참담한 붕괴 현장 이색 파인애플 피자와 굿즈를 선보인 영국 루파 피자가게 베네수엘라의 1958년 독재 종식 사건 기념 집회
프랑스 에너지 강화 원동력,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 자이언트 판다를 위해 수확되는 대나무들
카스타익에서 일어난 화재, 소방관들이 출동하다. 터키의 호텔 화재 희생자 장례식..
안티오크 학교 총격 사건으로 미국은 추모의 분위기.. 주간 청중에서 산불 겪은 미국을 위로하는 프란치스코 교황 동남아 최초, 태국 동성 결혼 시행 브라질의 더운 날씨, 더위를 식히려는 모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