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삼성 HBM 인증하기 위해 최대한 빠르게 작업 중”

노도현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23일(현지시간) 홍콩 과학기술대 명예박사 학위수여식을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고 있다. AP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23일(현지시간) 홍콩 과학기술대 명예박사 학위수여식을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고 있다. AP연합뉴스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주자 엔비디아를 이끄는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삼성전자의 AI 메모리 반도체 인증을 위해 최대한 빠르게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황 CEO가 23일(현지시간) 홍콩 과학기술대 명예박사 학위수여식에서 블룸버그TV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고 보도했다. 황 CEO는 삼성전자로부터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E 8단과 12단 모두 납품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AI 시대 필수재로 꼽히는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제품이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31일 올해 3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현재 HBM3E 8단·12단 모두 양산 판매 중”이라면서 “주요 고객사 품질 테스트 과정상 중요한 단계를 완료하는 유의미한 진전을 확보했고 4분기 중 판매 확대가 가능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앞서 회사는 같은 달 8일 “HBM3E의 경우 예상 대비 주요 고객사용 사업화가 지연됐다”며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 통과가 늦어지고 있다는 점을 사실상 인정한 바 있다.

다만 블룸버그는 황 CEO가 최근 3분기(8∼10월)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주요 협력사로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을 언급하면서도 삼성전자는 거론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현재 엔비디아는 SK하이닉스로부터 HBM 물량 대부분을 공급받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HBM 시장 점유율은 SK하이닉스가 53%로 가장 높고, 삼성전자(38%)와 마이크론(9%)이 뒤를 이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3월 엔비디아에 HBM3E 8단을 납품하기 시작했고 12단은 4분기 중 출하할 예정이다.

HBM 시장에서 경쟁사인 SK하이닉스에 뒤처진 삼성전자의 위기감은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다. 엔비디아향 HBM 공급을 통한 AI 반도체 경쟁력 확대와 실적 개선이 절실하다. 엔비디아로서도 가격 협상력과 수급을 고려할 때 삼성전자의 HBM 공급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황 CEO는 이날 학위수여식 후 취재진에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첨단 컴퓨팅 제품의 수출 규제를 강화해도 기술 분야의 글로벌 협력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 CEO는 “전 세계적인 협업에서 ‘오픈 사이언스(누구나 연구데이터에 접근해 자유롭게 협업하도록 하자는 연구 패러다임)’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이는 사회 발전과 과학 발전의 토대이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새 행정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진 모르겠지만, 어떤 일이 일어나든 법과 정책을 준수하면서 기술을 발전시키고 전 세계 고객을 지원하는데 균형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애들레이드 사이클링에 참가한 선수들과 우승한 다니엘 헨겔드 프랑스의 해안선 후퇴를 막는 산림청과 어린이들의 노력 사람들의 인기를 끄는 상하이 EH216-S 헬리콥터 고베 대지진 30주년 된 일본, 희생자들을 기억하다.
모잠비크 다니엘 샤푸 대통령 취임식 100주년 파트너십 맺은 영국-우크라이나의 회담
산불 피해 학생들, 타 학교로 이동하다. 카불에서 열린 이스라엘-하마스 휴정 기념회
주간 청중의 날, 서커스 공연을 보는 교황 아르헨티나까지 이어진 겨울 산불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합의 기념과 희생자 추모식 이란-타지키스탄 공화국 대통령의 만남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