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노역한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에서 열린 추도식에서 일본 정부가 강제성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데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사진)는 25일 “유네스코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올바르게 알리지 않고 있는 일본의 행태를 유네스코 측에 고발할 것”이라며 “사도광산 인근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에서도 조선인의 가혹한 노동은 기술돼 있지만 ‘강제성’ 표현은 전혀 없었다”고 썼다. 이어 “특히 ‘반도인(조선인)은 원래 둔하고 기능적 재능이 극히 낮다’ ‘반도인 특유의 불결한 악습은 바뀌지 않아’ 등 오히려 조선인을 비하하는 내용을 전시하고 있었다”고 했다.

사도광산 ‘도유갱’ 내부 | 서경덕 교수 SNS
사도광산 추도식은 지난 24일 사도광산 인근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열렸다. 한국 정부와 유가족도 추도식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과거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이쿠이나 아키코 정무관(차관급)이 추도사를 낭독하게 되면서 불참했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추도사에서 “1940년대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가 가혹한 환경에서 곤란한 노동에 종사했다”고 말했지만 강제동원 등 강제성과 관련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