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서 제공한 설비…통일부 “불법적 재산권 침해” 규탄
북, 김정은 생일 공휴일 지정 검토 등 ‘독자 우상화’ 가속
북한이 남한에서 개성공단에 전력을 공급했던 북측 송전선을 제거했다. 지난달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로를 폭파한 것에 이은 조치다. 남북이 단절됐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군이 지난 24일부터 경의선 주변 송전탑에 연결된 송전선을 자르는 모습이 군 감시장비에 관측됐다고 합동참모본부가 26일 밝혔다. 북한군은 군사분계선(MDL) 북측 첫 번째 송전탑에 연결된 송전선을 잘랐다. MDL 남측에 있는 송전탑과 연결되는 송전선이다. 자른 송전선은 송전탑 밑에 쌓아뒀다. 송전탑은 해체하지 않았다.
해당 송전선은 과거 개성공단에 전력을 공급했다. 남측 파주시 문산읍에서 북한 평화변전소까지는 총 48기의 송전탑이 있고, 이 중 15기가 북측에 있다. 2006년 12월 남북 간 송전선을 연결해 개성공단에 전력을 공급했다.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그해 2월부터 전력 공급이 중단됐다. 이후 2018년 9월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개소하면서 전력 공급이 일부 재개됐다가, 2020년 6월 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를 계기로 전력 공급이 끊겼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12월 남북관계를 “동족관계가 아닌 적대적인 두 국가”로 선언했다. 이후 경의선·동해선 일대 도로와 철도 침목을 제거하고, 지난달 15일 경의선·동해선의 도로와 철로를 폭파했다. 북한은 경의선·동해선 이외의 또 다른 남북 연결로인 강원 철원군 화살머리고지 전술도로에 최근 철책을 설치했다.
통일부는 “불법적 재산권 침해 행위는 반드시 중단해야 하고, 이에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송전설비는 남측이 제공한 것으로, 이를 일방적으로 철거한 것은 불법이라는 의미다.
한편 북한이 김 위원장 독자 우상화 작업의 일환으로 그의 생일을 공휴일로 지정할 수 있다고 통일부가 이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은 김정은 우상화를 2021년쯤부터 강화하기 시작해 올해 가시적인 격상을 시도 중”이라며 “향후 초상화·배지 사용 확대나 김정은 생일의 공휴일 지정 등으로 가시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또 북한이 이미 올해 ‘충성선서’를 김 위원장 생일에 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북한이 새해 첫날에 진행하던 충성선서를 올해는 김 위원장 생일인 지난 1월8일 실시했다는 것이다. 충성선서는 주민들이 당과 수령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행위다.
김 위원장 독자 우상화의 연장선에서 ‘선대 흐리기’ 작업도 진행 중이다. 김일성 주석을 기리는 ‘주체 연호’ 사용을 중단한 것이 대표적이다. 김 위원장의 초상화나 초상휘장(배지) 등의 사용도 늘어날 것으로 통일부는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