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3분기 평균 가계소득 늘었지만 ‘부익부 빈익빈’ 심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3분기 평균 가계소득 늘었지만 ‘부익부 빈익빈’ 심화

2분기째 고소득층 소득 큰 폭 증가

‘소득 5분위 배율’ 5.69배로 커져

3분기 평균 가계소득 늘었지만 ‘부익부 빈익빈’ 심화

올해 3분기 평균 가계소득은 늘었지만 고소득층 소득이 큰 폭으로 늘면서 분배 지표가 2개 분기째 악화됐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3분기 가구당 월평균소득은 525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4.4% 늘었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은 2.3% 증가했다.

근로소득과 이전소득 증가가 전체 소득을 끌어올렸다. 근로소득(332만9000원)은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이전소득은 국민연금 수급액 인상, 부모급여 인상 등으로 7.7% 늘어난 78만4000원이었다. 다만 사업소득(98만7000원)이 1년 전보다 0.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소매판매가 감소하고, 자영업자 폐업 수가 늘어난 영향이다. 가계지출(397만5000원)은 1년 전보다 2.7% 늘었다. 소비지출 증가율이 소득증가율(4.4%)을 밑돈 것은 9분기 만이다.

가계가 돈을 덜 쓰면서 흑자 규모는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년 전보다 10.2% 증가한 128만원으로 3분기 기준 역대 최대였다.

소득 상위 20% 구간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54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6.5% 늘었다. 모든 소득분위 중 증가율이 가장 컸다. 하위 20%인 1분위 가구도 소득이 5.4% 늘었지만 상당 부분이 복지에 의존한 것이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모두 줄어든 건 1분위가 유일하다. 이에 소득 1분위와 5분위 간 격차를 나타내는 ‘소득 5분위 배율’도 5.69배로 1년 전보다 커졌다. 상위 20% 소득이 하위 20%의 5.69배라는 의미로, 양극화가 심해졌다는 뜻이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