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엄마는 얼마인가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엄마는 얼마인가

[김해자의 작은 이야기]엄마는 얼마인가
책을 보다가 엄마를 얼마로
잘못 읽었다
얼마세요?

엄마가 얼마인지
알 수 없었는데,
책 속의 모든 얼마를 엄마로
읽고 싶어졌는데

눈이 침침하고 뿌예져서
안 되었다
엄마세요? 불러도 희미한 잠결,
대답이 없을 것이다

아픈 엄마를 얼마로
계산한 적이 있었다
얼마를 마른 엄마로 외롭게,
계산한 적도 있었다
밤 병동에서
엄마를 얼마를,
엄마는 얼마인지를
알아낸 적이 없었다
눈을 감고서,

답이 안 나오는 계산을
나는 열심히 하면
엄마는 옛날처럼 머리를
쓰다듬어줄 것이다

엄마는 진짜 얼마세요?
매일 밤 나는 틀리고
틀려도,
엄마는 내 흰머리를
쓰다듬어줄 것이다

-시, ‘계산’, 이영광 시집 <살 것만 같던 마음>


이틀 사이에 겨울이 왔다. 추위를 대비해 부직포를 덮어놓은 마늘밭과 무밭도 하얗게 눈이불을 덮고 있다. 몇 포기 남은 배추와 쪽파와 갓배추만 희푸르고 희붉은 빛. 엊그제는 눈 오기 전에 쪽파를 뽑다 놀랐다. 황갈색으로 껍질을 둘러쓴 쪽파 씨를 그저 땅에 묻어두었을 뿐인데, 두어달 만에 열 개 이상씩 새끼를 치다니. 매번 놀라지만 또 놀란다. 누가 어미인지 새낀지 모르겠다. 쪽파를 다듬다보니 생각난다. 아이처럼 신나서 상추와 쪽파를 솎던 사람. 봄빛 좋을 때 밭에 나가 빈 땅만 보이면 여기저기 쪽파 씨를 묻던 사람. 초여름 마늘밭 가장자리에 옥수수알을 묻어두던 사람.

그는 내가 큰 수술 마치고 방사선치료를 받고 있을 때 무거운 배낭 메고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오던 사람. 땀 배인 배낭에서 호박죽과 찰밥과 포기김치와 겉절이와 내가 특히나 좋아하는 파김치와 장조림도 나왔다. 저절로 입맛이 돌았다. 엄마, 엄마, 자꾸 부르면 오래전 돌아가신 우리 엄마가 돌아온 것 같았다. 먼지털이와 수세미와 걸레와 행주를 들고 다니며 집 안 곳곳을 반짝반짝하게 해놓고 가시곤 하던 그는 내가 스무 살 때 만난 친구의 엄마다. 하도 들락거리며 얻어먹다보니 저절로 엄마라 불러졌다.

그런 엄마가 하루아침에 쓰러져 수술실과 중환자실을 거쳐 요양병원 계시는 동안, 나도 “아픈 엄마를 얼마로/ 계산한 적이 있었다”. 노후가 든든하지 않은 대부분의 서민들처럼 가난한 친구 때문에, 마른 엄마 곁에서 얼마나 들까 고민하던 어두운 마음이 있었다. 미음 한 숟가락 못 들고 누워계시는 외로운 엄마를 두고. 기관지 절개술 탓에 입 모양으로 호소하는 눈물 고인 말도 알아들었다. 자식에게 민폐 끼친다 생각하신 엄마도 자신이 얼마인지 계산하고 있었을지 모른다.

어두운 마음은 “낙엽 위로 악착같이 기어나오던 풀꽃처럼 ” “젖어오던 마음”이다. 가까운 사람이 덜컥 큰병 걸리거나 사고가 났다는 소식을 들을 때마다 “뭐 이런 날벼락이 있나, 무너지는 마음 밑에/ 피어나는” “다 무너지지는 않던 마음”이다. “같이 살기 싫던 마음”이 “같이 살게 되는” 마음과 동거하는 암도 같고 항암 같기도 한 마음이다(시, ‘어두운 마음’, 이영광 시집 <살 것만 같던 마음>).

엄마가 돌아가신 지 두어달, 엄마라는 존재가 진짜 얼마인지를 “알아낸 적이 없”고 알아낼 길도 없다. 하지만 그 마르고 작은 체구로 참 열심히 살았고, 돈 안 되는 일만 골라서 하는 자식 같은 젊은이들을 엔간히 먹여살렸다는 것은 안다. 자신에게 주어진 온 삶을 다 떠메고 살다 가셨다. 청청한 쪽파처럼 대단하고 쪽파를 기르는 땅처럼 위대한 모심(母心)이자 모심(慕心)이다. 우리가 아무리 답이 안 나오는 계산을 해도 엄마는 참, 애썼다 하실 게다. 죽을 때까지 “매일 밤 나는 틀리고/ 틀려도/ 엄마는 내 흰머리를/ 쓰다듬어줄 것이다”. 하느님처럼.

김해자 시인

김해자 시인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